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것을 막기 위해 그물에 가로 세로 길이가 8.5cm 정도인 격자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요.”
끝
으로 김형후 연구원님은 “강 주변에서 다친 수달을 본다면 한국수달연구센터에 신고해 달라”고 부탁하셨어요. 신현희 기자는 “앞으로 수달을 더욱 관심 있게 지켜보고 보호해야겠다”고 말했어요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걸려 넘어진 후 퍼포먼스가 소극적으로 변했다. 이제는 주렁주렁한 선이 없으니 걱정
끝
!보행로봇다리가 불편한 김시집 씨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보행로봇으로 새로운 다리를 얻었다. 충전시간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니 더 좋다.무선충전 도로김동인 씨가 타는 전기 자동차는 충전 전용 도로를 지나면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주요 연구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원문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매 기사
끝
에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추가 추천 자료를 표시했습니다. 담당 기자들이 기사를 준비하면서 참고했거나 전문가에게 추천 받은, 검증된 자료입니다. 보다 깊은 정보로 지식의 세계를 넓혀 보세요.3. 언제,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나노선의 양쪽
끝
에 두 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나타나는데 그걸 실제로 확인했다는 것이다.하지만 이 연구 결과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입자와 반입자의 상태를 동시에 가져야 한다는 조건은 만족시켰을지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않았지만,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고생
끝
에 낙이 온다고 했던가. 권 교수의 연구는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에 좋은 밑거름이 되고 있다. 4배체 개구리는 진화적으로 아주 흥미로운 존재기 때문이다. 인간의 경우 두 개 있어야 할 염색체의 균형이 깨지면 ... ...
Part 2. 꿀꺽~! 삼키는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바로 캡슐내시경이랍니다. 원래 위나 대장 속에 병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관
끝
에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 기계로 진찰해야 해요. 그런데 내시경 관을 몸속에 넣는 것이 무척 괴롭기 때문에 수면마취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또 소장의 경우에는 관을 소장까지 넣을 방법이 없어서 진찰할 수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
?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널리 이용되고 있어요. 또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
까지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는 컴퓨터 사고력을 익힐 수 있지요. 누구든 홈페이지에서 바로 실행하거나 다운받아 쓸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이 스크래치로 프로그래밍에 도전하고 있기도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천장이 날아갈 정도로 쩌렁쩌렁 울려 퍼졌어요. 치열했던 로봇 퍼포먼스 결승전이
끝
나고 접수 합계에 들어갔어요.창의로보올림피아드는 로봇 미션수행 점수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발표 점수도 최종 평가에 포함돼요. 교육을 받으면서 친구들은 행복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어떤 로봇이 있으면 ... ...
[현장취재]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싶다”고 말했어요.가을 귀화식물 탐사를 마지막으로 올해 지구사랑 탐사대 현장교육은
끝
이 났어요. 이제 4기 수료식만을 남겨 두고 있지요. 11월까지 귀화식물뿐만 아니라 꿀벌과 밀원식물, 노래곤충 탐사가 가능해요. 모두 수료식에서 만나길 기대합니다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이 안토시아닌 색소가 나뭇잎을 붉은색으로 변하게 만든답니다. 사람의 손처럼
끝
이 갈라진 잎으로 유명한 단풍나무가 대표적이에요. 잎의 활동을 막고 떨어뜨릴 준비를 할 정도로 겨울 대비에 바쁜 나무가 왜 굳이 안토시아닌을 또 만들어내는 걸까요?안토시아닌은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서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