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4,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0
만들었답니다. 2 진실한 이야기를 가져라애니메이션을 이어가는 이야기는 캐릭터
주변
에서 벌어지는 일에서 시작해요. 캐릭터 각각의 이야기가 얽혀서 애니메이션 전체의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거지요. 만약 캐릭터에 대한 이야기가 아예 없거나, 터무니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관객들은 ...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
수학동아
l
201110
있는 칸
주변
에 그 숫자만큼 맛집이 있는 거지. 그러니까 3이 적혀 있으면 그곳을 제외한
주변
3곳에 맛집이 있는 거야. 만약 숫자가 있는 칸에 맛집이 있다면 그 숫자는 의미 없게 되지. 이렇게 찾아야 할 맛집의 수가 18개란다. 이 중 5곳의 맛집은 숫자 칸에 있단다.”“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10
관측한 가시광선 자료는 이 기간 동안 빛의 세기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관측 천체
주변
에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우주먼지가 많이 있음을 시사한다.“보현산은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환경이 가장 좋은 곳이지만 하와이나 칠레의 관측소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망원경도 1.8m로 작은 편이고요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10
확실히 믿어야 한다. 다른 사람이 하는 말에 너무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부모님이나
주변
친구들의 말이나 행동에 신경쓰다보면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따르게 된다. 그러면 자신감이 떨어진다. 자신감 있게, 대범하게 시험을 치려면 떨리지 않을 만큼 공부를 해야 한다. 결국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10
측정도구로 많은 것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도구지만 결과는 간단하지 않습니다.
주변
의 물리량을 한번 측정해 보십시오. 그 결과는 여러분에게 무궁무진한 연구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 자! 도전해 봅시다. 실제 연구 보고서 살펴보기 다음 연구 보고서를 쓴 학생들은 형광등 빛의 유무에 따라 ... ...
블록 조각 맞추기
과학동아
l
201110
검은색 조각들을 네모 칸에 올바르게 채우세요. 검은 블록 속의 숫자는 자신을 제외한
주변
블록 중 검은 블록의 개수입니다. 블록은 회전시킬 수 있지만 뒤집을 수는 없습니다. 이달의 퍼즐 정정합니다. 오른쪽 위 블럭에 있는 '2'를 아래 그림 처럼 '3'으로 바꿔서 풀어 주세요. 지난호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10
올해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내용을 정리해보자. 일본
주변
에서 지각판의 운동과 전선
주변
의 일기와 일기 기호, 지진규모와 진도 및 PS시가 최근의 전지구적 현상과 함께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앞으로 지구과학 학습법EBS교재를 하루에 20~40문항을 풀어보고 오답노트를 만들어둔다. 이렇게 꾸준히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10
탑의 기울기 재는 방법피사의 사탑이 몇 도 기울어졌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탑
주변
을 한 바퀴 돌았더니 어느 곳에서는 별로 기울어 보이지 않고, 어떤 곳에서는 기울어 보인다. 왜 그럴까? 쉽게 이해하기 위해 부드러운 판에 이쑤시개를 삐딱하게 꽂아보자. 평면에서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9
동해를 통해 오는 지진이나 쓰나미 등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다. 우리 땅인 독도
주변
의 바다 정보를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어, 해양심층수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등의 자원을 개발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위치 동해에 있는 독도의 북서쪽 해상설치 시점 2012년 완공 예정규모 높이 88m(수중 50m,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09
갖추고 있다. 2006년 완성한 과학실험용 무인잠수정인 ‘해미래’ 덕분이다. 한반도
주변
을 탐사하려면 3000m급으로 충분하지만 우리나라가 광구권을 갖고 있는 태평양 해역이 수심 5000m가 넘어 고성능 잠수정을 개발하게 됐다는 것이 한국해양연구원 측의 설명이다.이판묵 박사는 “6000m급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