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10}^{6}$개의 얼음결정, 8×${10}^{6}$개의 공기
입자
가 들어있다. 즉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입자
들이 서로 어우러져 차갑고 부드러운 맛을 만들어 낸 것이다.공기 반 아이스크림 반재료에 포함되기는 어렵지만 아이스크림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1등 공신은 사실 공기다. 이용현박사(롯데삼강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7
저절로 멈출 수 없다. 그리고 빛은 서로 부딪혀도 전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보존(Boson)
입자
다.만약 광선검의 칼날이 플라스마라고 가정해 보자. 플라스마를 강력한 실린더형 자기장 안에 가두어 둔다면, 광선검과 같은 형태를 띨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아직까지 ... ...
분홍색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199906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는 푸른색 퀘이사만이 관측됐고, 블랙홀 주위를 소용돌이치는
입자
들은 푸른색 빛만을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블랙홀이 분홍색을 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블랙홀 자체가 분홍색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 분홍색 빛은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06
발견할 수 없는 방법이다. 대기는 수증기와 먼지로 가득 차 있다. 이 수증기와 먼지에 빛
입자
가 부딪쳐 빛의 난반사가 일어난다. 그 결과 먼 곳에 있는 물체의 형태와 색채는 선명하지 않게 돼 반 아이크가 그린 산과 같이 흐릿하게 보이게 된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당연한 일이지만 당시로서는 가히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06
스며들면서 깨끗하게 되는 과정이다. 지표수가 흙 속으로 스며들면 우선 크기가 큰 먼지
입자
들이 걸러지고, 깨끗한 모래층이나 석탄층을 느린 속도로 지나게 되면 물 속에 섞여있는 오염 물질들이 제거돼 깨끗한 지하수가 만들어진다. 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면서 크로마토그래피라고 하는 화학적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06
많이 생기게 된다.한편 물질덩이 속에 들어있는 방사성 물질이 붕괴하면서 방출한 열로
입자
덩이가 녹거나 증발하는 열적 변화가 생긴다. 이 과정에서 원시물질의 성분이 변하게 된다. 물질덩이가 수cm - 수m 크기로 성장하면서 서로 충돌결합이 일어나면 물질덩이는 더 빠르게 커져 약 1만년 후에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06
구름층은 우리 태양계에도 있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우리 태양 주위에는 1mm 이하의 먼지
입자
가 태양빛을 반사하는 황도광 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행성간 먼지들이 많이 있고, 목성과 화성 사이에 주로 있는 소행성 띠도 있고, 명왕성 바로 바깥엔 소행성들로 차 있는 카이퍼벨트 영역(1990년대 초에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05
쓰인다. 보다 더 높은 기록밀도가 요구되는 하드디스크에는
입자
크기를 초미세화하고
입자
들간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한 코발트-크롬계 합금박막이 널리 쓰이고 있다.보다 작은 자석을 향하여데스크탑 컴퓨터용 2GB HDD에는 1GB짜리 3.5인치 디스크 2장이 들어 있다. 디스크 1장당 1GB의 저장용량을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05
천문학자들은 두번째 별이 있기 때문일 거라고 추측한다. 달궈진 팬과 불 사이에 먼지
입자
들이 존재하듯이 뜨거운 별이 두 개 있어 회전하는 먼지층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이 바람개비 모양의 별이 사교춤을 추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바람개비 별의 발견은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05
정밀자기장측정기 등이 탑재돼 있다. 아직도 정확하게 풀리지 않는 밴 앨런대에 포획된
입자
들의 행동과 같은 우주비밀을 밝혀내기 위한 것이다.그런데 뭐니뭐니해도 우리별 3호의 최대 특징은 우리 나름대로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했다는데 있다. 1호는 영국의 서리대학과 공동 개발한 것이고,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