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통신산업
KOITA
l
2013.08.02
4세대 LTE를 제일 먼저 구축하면서 이동통신산업의 판도에 변화를 준 LG U+나 최근 세계
최초
로 LTE-A를 도입하면서 실지회복에 나선 SK텔레콤 등의 움직임은 이런 이동통신사들의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변화는 더욱 빠른 네트워크 기술과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 양이 증가하는 ... ...
[채널A] 수심 6000m 압력도 ‘거뜬’…‘검은 노다지’ 로봇이 캔다
채널A
l
2013.08.02
하는데요. 이 심해에서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무인 로봇을 우리 연구진이 세계
최초
로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이 진작 나왔더라면 천안함의 비극도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현경 과학전문기잡니다. [리포트] 포항에서 동남쪽으로 130km 떨어진 해역. 무게 28t의 거대한 쌍둥이 무인 로봇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8월 수상자 고려대 황선욱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8.01
like)이고 이것이 이온채널임을 처음으로 규명해 냈다. TMC-1 단백질은 동물 종을 통틀어
최초
로 보고된 나트륨 수용체로 소금의 성분 중 나트륨 이온(Na+)을 감지한다. 외부의 온도나 물질의 농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감각수용체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간 뇌신경에서 짠맛을 인지하는 ... ...
조종사의 손보다 위대했던 컴퓨터
KOITA
l
2013.07.30
오리의 주둥이쯤에 해당하는 셈이다. 비교적 최근에 유행하기 시작한 카나드지만 사실
최초
의 비행기도 카나드를 달고 있었다. 바로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 ‘플라이어1’이다. 흔히들 플라이어1의 사진을 보고 커다란 주날개가 있는 쪽이 앞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작은 날개가 달린 쪽이 ... ...
미래부, 제2회 핵융합에너지 홍보 콘텐츠 공모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 국내 기술로 개발된 초전도 핵융합장치로 ’08년
최초
플라즈마 발생 성공. 세계 최고 수준의 핵융합 장치로 국제 핵융합 공동 연구장치에 활용되고 있으며, 매년 핵융합 상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핵융합 플라즈마 실험을 수행하고 있음 공모 분야는 UCC 및 ... ...
[채널A] 국내 연구진, ‘노화 방지 유전자’ 세계
최초
발견
채널A
l
2013.07.17
[앵커멘트] 노화의 주범이 몸에 쌓인 ‘활성산소’ 때문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죠. 때문에 블루베리나 벌꿀 같은 항산화물질도 많이들 챙겨 드시는데요. 앞으로는 줄기세포 유전자를 이용해 노화 예방이 가능해질 걸로 보입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활성산소를 유도하는 약물을 생 ... ...
"나노 연구자들 자신만의 강점을 확보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7.12
전문가로, 이 분야에서 권위있는 상인 미국 세라믹학회의 '쏘스먼 어워드'를 아시아인
최초
로 수상하기도 했다. 다결정체 계면은 여러 단일 결정들이 만나는 결정면을 의미한다. 강 교수는 "큰 물질이라도 나노 스케일의 구조나 조성에서 차이가 있으면 소재 구조와 특성이 크게 달라질 수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이라는 메시지를 전할 필요가 있었다. 자연히 뱅가드 프로젝트에도 비상이 걸렸다.
최초
계획됐던 기능들이 대거 빠졌으며 그저 위성이 제대로 살아있음을 알리는 송신장치만 부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육군 통신대에게는 더없이 좋은 기회였다. 애초 싣기로 했던 장치들이 대거 취소되자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
KOITA
l
2013.07.10
손목시계를 발명한 바 있었다. 시계가 당대 최고의 첨단기기였음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최초
의 ‘웨어러블 컴퓨터’인 셈이다. 그러나 구글 글라스보다 두 세기나 빨랐던 이 발명은 지금의 IT 기기만큼 환영받지는 못했다. 당시 기술로 작은 시계의 정확도를 기하기란 어려운 일이었고 따라서 ... ...
모기가 사람을 기피하게 만들 수 있다면?
KISTI
l
2013.07.09
유전자를 조작해 사람의 체취와 곤충 기피제의 냄새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실험에
최초
로 성공했다. 과학기술 전문매체인 사이언스데일리는 이번 연구 결과가 모기의 유전자 조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 외에도 모기들이 왜 그토록 사람의 체취에 끌리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