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
뉴스
"
사람몸
"(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개 “내 몸이 보이나요?”
팝뉴스
l
2018.11.27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가 높은 사진이다. 사진 속 개는 “투명 개”라고 불린다. 머리는 보이는데 몸통이 보이지 않는다. 투명 인간이 존재하지 않듯이 투명 개도 실제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진은 개의 몸 색깔과 배경 색깔이 비슷해 일어난 착시 현상을 담았다. 해외 네 ... ...
믿을 수 없이 큰 괴물 뱀
팝뉴스
l
2018.11.24
팝뉴스 제공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놀라움과 함께 진위 논란도 일으키고 있는 사진이다. 말 그대로 거대한 뱀이다. 괴물 뱀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닐 것 같다. 몸통이 사람의 몸통 보다 훨씬 두껍다. 몸길이는 4미터는 될 것이라고 네티즌들은 추정한다. 사람을 꿀꺽 삼키는 것이 전혀 어렵지 않을 ... ...
암 발생 유전자,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체 내 유전자가 신경 줄기세포 기능유지에 관여한다는 사실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새로운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된다. 윤기정 성균관대 융합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암세포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고 ... ...
인슐린 품귀현상 발생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몸에 음식이 들어와 혈당량이 높아지면, 췌장에서 이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한다. 하지만 지속적인 과식과 운동 부족으로 혈중 인슐린 농도가 계속 높게 유지되면, 어느 순간 인슐린이 기능을 잃어 2형 당뇨병에 걸린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 ... ...
[미래융합포럼] 대화 통해 성장하는 반려로봇, 전세계 유일무이 스킨 프린터 등 볼거리 다양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오늘 날씨가 어때?” “낮에는 영상 3도 밤에는 영하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로봇에게 날씨를 묻자 사람 말을 알아듣고 대답을 한다. 탁상위에 있는 음성인식 스피커가 아닌 움직이는 로봇이 사람 말을 듣고 답을 찾아준 것이다. 21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 ...
근육 감소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50대 후반부터 근육량 감소가 빠르게 진행된다. 픽사베이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질병이나 노화로 생기는 근육 감소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성균관대 약학과 조은정 교수팀은 근육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근육조직 생성을 유도하는 새로운 ‘RNA(유전정보 전달물질)’을 발견했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목소리가 좋은 남자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물론 제 눈의 안경이라 좋아하는 이성의 기준은 모두 다릅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이 인정하는 기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낮고 중후한 목소리를 들으면 한번쯤 돌아보게 된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는 왜 멋진 ... ...
“날개 달린 토끼” 화제
팝뉴스
l
2018.11.17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크게 주목을 받은 이미지다. 토끼의 귀가 상당히 커서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네티즌들은 이 토끼가 하늘을 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한다. 귀가 날개처럼 펄럭거리면서 토끼 몸을 들어 올릴 것 같다는 이야기다. 일부 네티즌들은 귀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일러스트 서춘경, 박장규 세계적인 투자자이자 미국 사업가인 짐 로저스는 2017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좋은 직업이 뭐냐는 질문에 “지금 삶이 마음에 안 든다면 농부가 돼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20~30년 뒤 농부가 가장 좋은 직업이 될 것”이라고 여러 번 강조한 바 ... ...
나도 모르는 나의 수면 지연 습관, SNS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트위터 로고 주중에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지만, 주말만 되면 밤늦게까지 놀거나 아침 늦게까지 늦잠을 자는 사람이 많다. 이런 현상은 마치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처럼 몸의 규칙적인 리듬을 깬다고 해서 흔히 ‘사회적 시차’라고 불린다. 그런데 이런 현상을 부추기는 가장 큰 요원이 낮의 길이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