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3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각질 채취만으로 생후 2개월에 아토피피부염 발병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으면서 아토피피부염에 면역
반응
을 일으키는 인자인 'IL-13'과 지질의 한 종류인 '26대1 불포화 스핑고미엘린'이 높고 단백질 결합 세라마이드가 낮은 경우에는 아토피피부염 발생 가능성이 54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수상자로 선정된 테이텀의 수상업적은 레더버그와 다르게 “유전자가 특정한 화학
반응
을 조절함으로써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었다. 그런데 세균은 어떤 방법으로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것일까. 레더버그는 자신의 발견이 항생제 내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지만 두 세균이 붙었다 ... ...
우울증 부작용 줄인 '난치성 뇌전증' 뇌자극 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뇌전증은 반복적 발작을 일으키는 만성 뇌 장애다. 뇌전증 환자의 약 30%는 약물 치료에
반응
이 없는데, 이를 난치성 뇌전증이라 한다. 난치성 뇌전증은 문제가 되는 뇌 부위를 절제하는 치료법이 시행되나 수술 후 운동마비나 언어장애 같은 신경학적 손상 위험이 있다. 최근 뇌 절제술 대신 ... ...
살아있는 동물에서 저절로 전극이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교수는 연구 성과에 대해 "개발된 폴리머는 신체가 자연적으로 생성하는 대사물질과
반응
해 유기체를 유전적으로 변형할 필요가 없게 한다"며 "신체 조직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 해 생물과 비생물간 상호작용이 필요한 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찾는 브랜드가 있고 메뉴가 존재한다. 이것이 단순히 고칼로리 영양 성분에 의한 신체
반응
으로 모두 설명이 가능할까.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연구 분야 중 하나가 '장-뇌축(gut-brain axis) 연결'이다. 영양분을 흡수하는 장과 이를 소모하는 뇌는 혈액이나 신경계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장에서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1000만kg의 화석 연료와 맞먹는 에너지 생산이 이론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려면 1억도 이상 초고온 상태의 플라즈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이온 상태)가 필요하다. 태양은 자체 질량과 중력으로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를 스스로 만들지만 지구에서는 1억도의 초고온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소개돼 화제를 끌었다. 이 나무는 광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광호흡
반응
을 개선하는 전략으로 기존 포플러보다 바이오매스(생장량)가 53%가 증가했고 탄소 포집은 27% 향상되었다고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브라질에서는 2015년에 생장속도를 늘린 유전자변형 유칼립투스의 상업적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냈다. 가성진행은 종양의 실제 진행과 구별이 어려운 뇌교모세포종 특유의 치료
반응
을 뜻한다. 최 교수는 또 자기공명영상(MRI) 영상에서 철 나노입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 목적에 따라 종양의 신호 강도를 바꿀 수 있는 나노입자 최적화 연구를 수행해 종양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면 세포의 증식과 분화, 면역
반응
, 노화와 질병 등 생명 현상의 모든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간 몸에는 유전자 발현 조절자 역할을 하는 miRNA가 수백 종 존재한다. miRNA가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재료물질인 기다란 miRNA 전구체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시상핵 신경도 잠을 자지만 배내측 시상핵 신경은 깨어 있어 소리를 들려주자 곧바로
반응
했다. 또 배내측 시상핵을 억제하면 소리를 들려줘도 쥐가 잠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김대수 교수는 “연구 결과가 수면 질환 등 뇌질환 분야에서 각성 및 감각을 조절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개발로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