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뉴스
"
물리학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마 파도’ 만들어 입자 가속...소형 가속기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9.07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에 비유럽권 연구자로는 유일하게 김성열 UNIST
물리학
과 연구원과 정모세 교수가 참여했다. 정 교수는 “LHC 이후의 가속기로 일본에서 거대한 전자 선형가속기를 건설하고자 논의 중인데, 어웨이크를 이용하면 현재의 LHC에 1km짜리 시설만 덧붙여 전자 가속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아닐 것이다. 아인슈타인에게
물리학
이 쉽다고 해서
물리학
이 쉬운 것은 아니며 나도
물리학
을 잘 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처럼. 그럼에도 누군가가 쉽게 잘 해내는 모습을 보고 그 일 자체가 쉽다거나, 나도 잘 할 수 있을 거 같다고 느끼는 이유는 뭘까? 최근 심리 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 ...
[표지로 읽는 과학]기술이 발달해야 생물학 혁신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1
발달생물학 등이 발전할 수 있었다. 19세기 전자기학이나 20세기 양자역학처럼
물리학
분야에선 관측기술이나 측정 기술이 미비했던 때에도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이 생기곤 했다. 반면 생물학은 기술이 먼저 발달한 후에야 획기적인 학문이 탄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크리스퍼 ... ...
태양의 이름을 딴 헬륨, 우리가 모르는 상식 5가지
2018.08.30
가스를 수집해 분석함으로써 헬륨 원소의 존재가 입증됐습니다. 프랑스의 천체
물리학
자인 피에르 장센은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전 세계를 여행했으며, 분광기에서 헬륨의 파장 패턴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 위키미디어 제공 2. 우주에서 유일한 헬륨의 특징 원소기호 2번에 위치한 ... ...
대형 지진 뒤 여진, AI가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일어난 의사결정 과정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가 개발한 방법은 예측 결과를
물리학
적으로 설명까지 할 수 있다”며 “여진을 더 정확히 예측해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목성은 수백만년 합체와 축적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만큼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이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이안 알베르트 베른대
물리학
연구소 연구원은 "웅덩이를 행성배아로 가정하면 목성과 같은 거대행성으로 성장하기 위한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의 20배 안팎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지구 질량의 5배이상인 행성 배아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깨달음 세계 만다라 닮은 그래핀 준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졌다”며 “그래핀 준결정을 통해 ‘4차원 공간에서의
물리학
실험’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과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올해 6월 사이언스 온라인판을 통해 처음 공개됐던 이 ... ...
강속구로 승부하라! 메이저리그 선발투수 100명 투구 빅데이터 분석
2018.08.24
KAIST
물리학
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보스턴대를 거쳐 POSTECH 산업경영공학과와
물리학
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복잡계를 전공했으며, 자연법칙으로 다양한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서은경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취임 99일만에 사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됐다”고 덧붙였다. 서 이사장은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퍼듀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 전북대 교수로 부임해 재직 중이다. 2017년 10월부터는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을 맡는 등 활발한 대외활동을 해왔다. ... ...
물리학
개념으로 DNA 작동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등의 분자 사이에 정전기가 작용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물리학
의 전유물이라고 여겼던 상분리 현상이 DNA에서도 발생한다는 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교수는 "DNA 상분리가 유전자 발현과 줄기세포 분화 등 세포 활동을 결정지을 가능성을 분자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