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적확
정밀
명쾌
명석
명료함
명백
뉴스
"
명확
"(으)로 총 1,549건 검색되었습니다.
타는 목마름으로…갈증 조절하는 뇌세포 발견
2015.01.27
높아지기 때문이다. 뇌활밑기관을 대상으로 전기 자극 등 다양한 실험을 진행해 왔지만
명확
한 원리와 그에 관여하는 뇌세포들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연구진은 뇌활밑기관이 갈증을 통제한다면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뇌세포군이 관여할 거라고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뇌세포 영상.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그는 매우 쉬운 단어로 영어를 구사해 알아듣기 어렵진 않았다. 하지만 때로 발음이
명확
하지 않았다. 외모에서 드러나지만 미국 태생이 아니라 카자흐스탄 출신이다. 변방의 국가에서 세계 중심부로 와서 스타 과학자가 되기까지 걸어온 여정이 궁금했다. “소련연방 시절 카자흐스탄에서 태어나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한 일도 잊어버린다. 하지만 개인별 뇌 구조와 해리성 정체 장애 사이의 인과 관계가
명확
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어서 이를 진단 기준으로 삼기에는 한계가 있다. 쪽잠 이론’을 제기한 학자도 있다. 스티븐 리 미국 빙엄턴대 교수팀은 2012년 미국심리과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에 잠을 한 번에 푹 자지 ... ...
내가 금연을 하는 건 ‘담뱃값이 올라서’가 아니야
2015.01.15
아기가 하루아침에 갑자기 죽는다고 한다. 이런 유아돌연사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
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간접흡연이나 임신부 흡연은 유아돌연사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2012년 07월 21일자 동아사이언스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작은 편입니다. 이렇게 비교적 작은 두뇌 용량으로 도구를 만들고 사용했는지는
명확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두뇌 용량의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한 고고학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초기 인류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물론 그 흔적을 발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 ...
새해 목표 1위 ‘금연’ 과학적으로 성공하려면
2015.01.13
패치 같은 금연보조제 등도 팔리고 있지만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고 처방하는 기준도
명확
치 않다. 이런 가운데 사람마다 다른 ‘니코틴 분해 속도’를 기준으로 금연보조제를 선택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알코올 분해 효소의 양에 따라 술을 잘 마시느냐, 못 마시느냐가 판가름 나는 ... ...
전국 뒤 흔든 구제역은 ‘변종’, 백신 효과 없나
2015.01.11
유전자 검사에서 보통 바이러스 구조가 99% 정도 유사성을 띠면 같은 것으로 본다.
명확
한 근거는 의성 구제역 바이러스와 99% 이상 일치하는 해외 바이러스를 찾아야만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은 “형태면에서는 과거 중국에서 발생한 유전자형과 매우 비슷해 보인다”며 “지난해 7월 ... ...
헉! 출생년도에 따라 허리둘레 달라지네
2015.01.01
사람과 이후에 태어난 사람 사이에는 성별과 나이를 불문하고 신체질량지수(BMI) 차이가
명확
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신체질량지수란 신장과 체중의 비율에 대한 객관적인 지수로 BMI가 높을수록 키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간다는 뜻이다. 1942년 이전 출생자(파란색)에 비해 1942년 이후 ... ...
자석으로 DNA 이중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전자회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구조가 형성되는 원리가
명확
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만드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윤 교수팀이 개발한 DNA 나노구조 제작 방식의 모식도. 자석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 KAIST 제공 윤 교수팀은 지금까지 열처리를 ... ...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재조치가 가능하다. 장종희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정상 뇌와 종양의 경계가
명확
하지 않은 부위를 수술할 때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계다”라고 설명했다. 세브란스병원 암병원은 방사선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로보틱 IMART를 4월 도입해 주목을 받고 있다. 치료 중 실시간으로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