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무료)‘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2011.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104N008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이 될 확률과 0이 될 확률을 각각 계산해 확률이 큰 값을 출력할 거야. 1이면 추천하고 0이면 추천하지 않아.수학으로 닮은꼴을 찾아라컴퓨터가 계산한 확률이 내가 실제로 볼빨간사춘기를 좋아할 확률과 같을지는 몰라. 그래서 둘을 조금이라도 가깝게 하려고 확률 계산법을 고민했지. 가장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2차원으로 바꿔야 해석이 가능하다. 신호를 일렬로 죽 늘어놓으면 아무 규칙이 없는 0과 1의 나열일 뿐이다.여기서 1679라는 수가 중요하다. 73과 23의 곱으로 이뤄진 수인데, 이 두 수는 소수다. 따라서 이 메시지는 23×73 혹은 73×23 두 가지 직사각형으로밖에 나타낼 수 없다. 23×73으로 직사각형을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때, 전기가 통했다. 조금의 과장도 아닌 것이, 진짜 번개가 치면서 하늘과 땅 사이에 8500만 볼트의 전기가 통했기 때문이다.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다. 옆 반 교실로 건너왔고, 수업 시작을 기다리며 자리에 앉았고, 옆에 있던 여학생이 고개를 돌렸던 것뿐이었다. 3년간 단련하고 단련한, 마음을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국의 발명가 로버트 고다드는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쥘 베른의 과학소설을 읽고 세계 최초로 현대식 로켓을 만들었다. 6만 번이 넘는 시행착오 끝에 1926년 3월, 52m 정도 떨어진 곳까 ... 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2016.3) dl.dong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변화를 실험으로 확인했다.제임스 어낼리티스 교수는 비소화카드뮴 샘플을 약 100nm 두께로얇게 만든 뒤, 극저온, 초고진공에서 바일 준금속 상태를 구현했다. Q 양자물질 실험을 잘 하는 비결이 있다면.내 비밀 무기는 아주 뛰어난 학생들과 함께 연구한다는 것이다. 그게 핵심이다. 우리가 하는 ...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다음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각각 원하는 색으로 정하고 칸에 해당하는 색을 칠해요.색을 10가지 쓰고 싶다면 십진수 π를, 색을 2가지 쓰고 싶다면 2진수 π를 사용하면 돼요. 2016년에는 의상업체와 손을 잡고 디지털 퀼트 무늬의 옷을 만들어 전시했어요. π-데이처럼 특별한 날에는 디지털 퀼트 옷을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메고 울퉁불퉁한 자갈밭을 걸어 다니며 20~30kg 되는 토양을 채집한다. 가끔 개천이 나오면 0°C의 얼음장 같은 물을 맨발로 건넌다. 이렇게 해서 한국에 가져온 토양이 건조된 무게로 1t에 육박한다. 이것으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현재까지 이뤄진 연구를 종합하면, 빙하 후퇴지역은 ... ...
- [수학뉴스] 원숭이 대장은 언제 바뀔까?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집단생활을 하는 원숭이 무리에서는 종종 서열 다툼이 벌어집니다. 이 싸움에서 이긴 원숭이가 우두머리가 되 지요. 이런 서열 다툼은 언제 벌어지는 걸까요? 최근 미 ... 원숭이 수가 서열 다툼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이지요.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2월 10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뉴스] 수학의 모든 것 지도 한 장에 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원에서 시작합니다. 수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수 세기와 수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0의 발견 등 수학의 기원을 간단한 그림과 함께 보여줍니다.이 원을 기준으로 왼쪽 붉은색 부분은 정수와 실수, 사칙연산 기호 같은 수학의 기본 요소와 위상수학, 대수학, 기하학 같은 순수수학 분야를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