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필수다. 콤팩트 카메라는 초점이나 노출시간까지 자동으로 찾아주지만 표현력에
한계
가 있다.하지만 큰맘 먹고 DSLR 카메라를 샀더라도 이것저것 알아야 할 사항이 너무 많아 천체사진은 커녕 장롱 안에 묵혀 두는 경우가 많다. DSLR 카메라가 콤팩트 카메라에 비해 표현력이 넓은 가장 큰 이유는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 디아릴베릴륨 등 유기 베릴륨화합물이 있다 물체의 무게가 변한 것을 감지하는 변화의
한계
치에 대한 법칙 독일의 생리학자 E H 베버가 1831년에 발견했다 그 후 각종 감각의 식별역(識別閾)에 대해 광범위하게 알려졌으며, 베버의 법칙은 감각에 대한 기본법칙의 하나가 되었다 1514~1564 벨기에의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디스플레이가 작아질수록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점이나 휴대전화 배터리 용량에
한계
가 있다는 점은 걸림돌이다.또 모든 신상정보를 담고있는 휴대전화가 개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황에 거부감을 표하는 이들도 많다.휴대전화가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파생하는 사회적인 문제까지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향상을 꼽을 수 있다또한 회로를 반도체 부품만으로 구성하므로 아날로그로서는
한계
가 있던 부품의 집약화도 이룰 수 있다모든 정보를 디지틀 신호로 바꾸어 처리하는 통신 디지틀 신호는 신호가 있고 없음을 0과 1이라는 2종류의 신호로 표시한다텔레비전이나 전화 등의 신호는 거의가 연속적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biorefinery)라고 한다. 세계적인 석유화학 대기업인 BP(British Petroleum)사도 석유 매장량
한계
와 환경오염문제를 고려해서 바이오연료 개발을 포함한 바이오정유 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있으며 석유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로 자사의 이름을 ‘석유를 넘어서’(Beyond Petroleum)의 BP로 설명하고 있다.이런 ... ...
민영 의료보험의 무서운 진실 식코 sicko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생각도 든다. 우리나라는 부분 의료보험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어느
한계
이상이면 그때부터 본인부담금이 늘어난다. 이런 이유로 민간 보험회사의 암보험이 성행하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다.영화 중반, 한 캐나다인이 손가락 5개가 모두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수술 시간만 2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식각방식’으로는 2020년쯤 회로선폭이 10nm급에서 벽에 부딪칠 것”이라고 말했다.이런
한계
를 넘을 걸로 기대되는 방식이 바로 ‘자기조립’을 이용한 바텀업 방식이다. 자기조립이란 분자나 원자 수준에서 입자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구조를 만드는 현상이다.과학자들은 그동안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걸쳐 있는 해분 래브라도·그린란드·뉴펀들랜드로 둘러싸인 구역으로, 북서쪽의
한계
는 데이비스 해협, 북동쪽은 덴마크 해협, 동쪽은 중앙대서양해령(海嶺)의 일부인 레이캬네스 해령, 남쪽은 플레미시캡의 북동쪽 연장선에 의해 뉴펀들랜드 해분에 접한다북쪽에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져 ... ...
5문 5답으로 푸는 전자여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한다고 주장한다. 얼굴정보의 경우 나이가 들거나 성형 수술을 하면 본인을 확인하는 데
한계
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Q2 교통카드와 같다?전자여권에 수록된 전자칩은 정확히 말해 ‘비접촉식 IC칩’이다. 쉬운 예로 교통카드를 생각하면 된다. 전파(radio wave)를 발신하는 안테나와 신상정보를 담은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
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만 볼 수 있어 가시광선이 적은 밤에는 앞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적외선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안경형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