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앞섰다(위 그림❺ 참고). 기자가 100개를 만들 때, 유 연구원은 600개를 만들었다. 이날 총 1000개의 초파리 밥을 만들었다.한 가지 재밌는 점은 초파리 밥의 레시피에 따라 초파리의 행동이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식대로 초파리 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문석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입에 넣고 방아쇠를 당긴다.#14나는 다시 해안에 나와 있다. 둘이 타고 왔던 보트는 총소리에 놀란 주인이 황급히 시동을 걸고, 나 혼자 숲에서 나오자 뒤도 돌아보지 않고 수평선을 향해 멀어진다.어차피 돌아갈 생각은 없었다.도대체 어디로 간단 말인가?보트 주인인 어부가 가련하다. 아니 우습다.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었지요. 이 강에는 두 개의 작은 섬이 있었고, 두 섬과 육지를 연결해 주는 다리가 총 일곱 개 있었어요. 지금 보고 있는 것처럼 이 도시는 경치가 좋아 많은 사람들이 강 위로 놓여 있는 다리를 건너며 산책했지요.”“네 맞아요. 저도 한참을 바라보고 있었어요.”“그런데 다리를 건너는 사람들이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변환해 지구로 전송한다.이번 프로젝트에는 밀너가 1억 달러(약 1150억 원)를 투자하는 등 총 100억 달러(약 11조5000억)의 돈이 투입될 예정이다. 밀너는 “우주를 향한 위대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금까지 5000명가량이 등록됐다.실무자가 10명뿐인 작은 조직에서 전담자 한 명을 포함해 총 네 명이 관리에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브릭에서 한빛사의 비중은 크다. 실무진은 무려 180개 학술지에 올라오는 논문들을 주기적으로 검색한다. 저자의 이름이 한국인으로 보일 경우 이메일로 연락해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쿠아리움을 아시나요?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은 도심 속 최대 수족관으로 총 650종 5만 5000마리의 생물이 살고 있어요. 보는 재미가 있고, 다양한 체험이 있어 생물을 더 자세히 알고 즐길 수 있습니다. 기자단도 다양한 체험을 하며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취재했답니다.기자단의 첫 번째 체험은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작은 친구는 끝 지점까지 걸음 수가 많고 보폭이 큰 친구는 걸음 수가 적었지요. 그 다음 총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각자 걸음 수와 자신의 평균 보폭을 곱했습니다.그런데 구간의 거리를 잰 값은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아마 거리를 재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걷는 바람에 자신이 측정한 평균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등 민간 수요까지 고려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서울대 수의과대에서는 지금까지 총 20마리의 복제탐지견을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발하는 질환이다.연구팀은 사망한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 조직에서 전장전사체(발현된 총 RNA)를 추출해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일반인의 뇌 발달 과정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 ...
- [과학뉴스]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란다우 한계는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고 보고, 소모되는 에너지의 최소 한계를 이론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대략 기존의 컴퓨터 칩이 쓰는 전력의 100만 분의 1 수준이다.이번 연구결과는 휴대전화나 슈퍼컴퓨터 같이 전력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