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괴되는 삼림 벌거벗은 대지는 보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가속화되어 가공할 만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수목의 보호를 받는 자연상태에서조차도
지표
에 1cm의 토양을 재생시키는데 1백년에서 4백년이 걸린다. 따라서 한 번 토양이 침식돼 버리면 돌이키기 힘든 손실을 입게되는 것이다 ... ...
이롭고도 극히 해로운 납 중독예방을 위한 완전가이드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납이 체내에 흡수된 체내 납폭로량의
지표
로서는 혈액중 납량이 현시점에서 가장 민감한
지표
로 사용되며 납중독의 정도가 아니고 체내에 흡수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외에 소변중 납량, 머리카락이나 손톱 등에서의 납량을 측정하여 납의 체내흡수정도를 알아내는 검사방법들이 있다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하여 그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회복을 위한 투약 수술 등의 진료를 하듯이, 기상전문가는
지표
면 위를 덮고 있는 대기를 대상으로 기온 기압 풍향 풍속 습도 등의 기상요소를 관측하고 분석함으로써 현 대기상태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대기상태를 예측하게 된다. 현재 일부 선진국에서는 특수목적상 ... ...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운반하여 지구표면의 모습을 계속 바꾸어온 근원이 되었다. 또한 분화구의
지표
에 쌓인 화산재는 바로 비옥한 토양이 되어 인류의 삶의 터전을 제공해주기도 하였다.화산에서 분출하는 물질은 지구상의 생명체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서기79년에 있었던 폼페이의 비극은 인간에게 재난을 ... ...
원시지구의 마그마는 바위도 녹이는 초고압 초고온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의 사이에 있는 두께 약 3천km 의 맨틀상층부를 형성하는 물질로 때때로 화산분화등으로
지표
에 나오는 수도 있다.이것을 비교적 낮은 압력 아래서 녹이면 현무암의 용암을 닮은것이 된다.이것은 지금도 대서양의 중앙부 해령이나 하와이등지에서 분출되고 있는 마그마와 같은 것이다.그러나 지하 ... ...
한반도 남부에서는 처음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년에 발굴)과 매우 유사하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한반도의 전라·경상지역에서
지표
채집의 극소수예가 있었을 뿐 구석기문화층이 발견된 최초의 경우이므로 앞으로의 전면발굴을 통해 한반도남부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양식 및 일본과의 연계성을 밝히는데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 ...
기술진흥우수경영인 금탑산업훈장수상 김상홍 삼양사 회장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화학섬유분야에서는 처음으로 대상을 받은 기업경영인으로 신기술개발을 경영의
지표
로 삼은 공로가 인정돼 이날 수상한것."이번 수상은 저 개인에게 주는 상이라기보다는 5천여 회사 임직원들에게 주는 상이며 또한 다양한 사회적요구를 충족시켜주는 화학섬유의 중요성을 정부가 인식,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10km나 떨어진 지점까지 내던져질 정도로 격렬한 것이었다. 대량의 마그마 분출로
지표
는 함몰되었다. 이렇게 하여 현재의 카고시마 일대 지형을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지진과 일본화산과 함께 일본열도를 폭발과 파괴로 위협하고 있는 것이 지진이다.지진이란 지구내부의 암석이 어떤 원인으로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모든 항목에 대해서 미국이 1백이라면 일본은 70~80, 또한 소프트웨어기술의
지표
인 OS(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일본이 1백이라면 미국은 1백50 정도의 능력을 갖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소프트웨어분야에서의 일본은 이미 설계가 끝난 것을 어떻게해서든지 빠르게 정확히 싼가격으로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융설 홍수가 있다. 흐르는 물의 수온이 낮으므로 밭에 침수되면 냉해를 입는다. 또 눈이
지표
면에 쌓이면 태양의 복사에너지가 잘 반사되므로 지구표면의 눈이 쌓인 면적에서의 변동이 기후변동의 요인이 될수 있다. 이럴때 눈은 장기적으로 인간생활에 영향을 주게 된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