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돼지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
한 돼지다. 박광욱 박사는 지난해 국내에 복제돼지 전문 바이오 벤처기업인 엠젠바이오의 사장이 되기도 했다.마크로젠도 지난해 일본에서 복제 쥐를 탄생시켰다. 이 복제 쥐는 영롱이처럼 체세포를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혼합된다. 그 결과 냄새와 유해성분이 사라진다. 이어 2-3단계를 거치면서 각종 침전물이
제거
돼 마지막 통에는 맑은 물이 똑똑 떨어진다. 농업용수 기준보다 훨씬 깨끗해 재활용이 가능한 물이다.부와 명예 동시에 잡아박 박사는 과학자로는 드물게 부와 명예를 동시에 잡아 화제를 낳기도 했다. 박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마이너러티 리포트 - 비행기 납치범 제압하는 충격음파총서기 2050년. 워싱턴 DC 경찰인 존 앤더튼은 범죄 사전예방시스템 내에서 인지자들이 미래의 범죄를 미리 예측하면 그 ... 제압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군인들이 직접 출동했을 때 처할 수 있는 위험들을 사전에
제거
할 수 있다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n이어야, 1n인 정자와 만나 아이는 2n이 된다.인공 난자는 불임여성의 체세포를 핵을
제거
한 다른 여성의 난자에 집어넣는데서 시작된다. 그리고 전기충격을 가해 1세트의 염색체를 방출시킨다. 다음은 난자가 되도록 활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거친다. 팔레르모 교수가 만든 인공 난자는 정자와 만나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종이 표면에 남지만, 용해제는 섬유질 속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색소는
제거
되거나 바래질 수 있지만, 용해제는 섬유질 속에 계속 남는다. 잉크로 글씨를 쓴 종이에 7백nm(나노미터, 1nm=10-9m) 이상의 적외선이나 4백nm 이하의 자외선과 X선을 이용하면 섬유질 속에 남아있는 용해제를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모든 물체에서 볼 수 있다 고체에서는 힘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탄성이 없어져 힘을
제거
하더라도 변형된 채로 남는다 이 한계를 탄성한계라고 한다 이 한계점을 넘어 더 힘을 가하면 갑자기 변형이 크게 증가, 항복점을 넘으면 영구변형을 일으킨다회전형 내연기관 종래의 왕복형 피스톤식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정자와 같이 분화초기 상태로 돌려놓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주로 만든다. 난자의 핵을
제거
할 때는 핵과 함께 세포질에 포함된 일부 미토콘드리아도 함께 빠져나간다. 따라서 복제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미토콘드리아의 양을 최소화해야 한다.과학자들에 따르면 복제동물의 외모는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받을 수 있는 양이다. 하지만 이런 ‘잡음’은 두 관측소의 자료를 비교해 자연스럽게
제거
할 수 있다. 즉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력파는 3천km 떨어진 두 관측소를 동시에 지나가기 때문이다.2010년 우주에 거대 관측소 설치 LIGO 계획은 캘리포니아공대가 1979년 40m짜리 길이의 중력파 안테나를 만든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머지바이오 세러퓨틱스 연구진은 인체에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
한 돼지 4마리를 복제하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강원대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그리고 미주리대 박광욱 박사가 참여했다.현재는 인간면역 관련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사건 해결이 늘 퍼즐을 푸는 것처럼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있을 수 없는 모든 요소를 다
제거
하고 나면 진상만 남는다는 것이 추리소설의 가장 중요한 논리지만, 우리는 있을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다 생각해낼 수는 없기 때문이다.현실에서 벌어지는 실제 사건은 더욱이 이런 경우와 거리가 멀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