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안에 이산화탄소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숲이 얼마나 많은 탄소를 품고 있는지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2007년을 기준으로 우리 ... 이번 연구가 우리나라의 숲이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있다는 걸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 ...
과학과 만화의 상상력은 하나예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하지만 요즘은 인식이 좋아졌어요. 만화가 상상력과 창의력의 예술이라는 점을
인정
했기 때문이에요.”선생님은 둘리가 태어난 지 25년이 지났는데도 인기가 많은 건 상식을 깨는 상상력이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신대요.“둘리가 처음 시작될 때만 해도 어린이들에게 공룡은 무서운 ... ...
한글의 DNA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주는 상을‘세종대왕상’이라고 이름붙일 정도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
했어. 한글 DNA의 분석을 마친 나는 이제 우주 공식글자로 쓸 한글을 가지고 떠나야겠어.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한글 DNA의 특성을 잘 알고 그 생명력을 키워 한글을 바르게 쓰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어 ... ...
멋진 과학 통행증을 나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국민약골이라 하시지만 사실 전 보기보다 무척 건강하답니다. 선동렬 감독님이
인정
하실 정도로 운동 신경도 좋구요. 재밌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뛰고 넘어지며 촬영을 하려면 탄탄한 체력은 필수죠!”건강하고 재밌게 웃고 사는 게 최고라고 말문을 연 이윤석 아저씨는 바쁜 방송 활동 중에도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종류라면 논문을 작성해 발표한다. 이후 논문이 심사를 받고 새로운 종을 발견한 것으로
인정
받기까지는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앗, 세상에이런생물이!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미지의 생물을 찾아가 볼까? 새로운 생물을 찾는 과학자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곳 중 하나가 바로 바다야. 바다는 다양한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문에오…, 오해를 했잖아요. 도대체 날치는 왜 나는 거래요?”이제야 자신의 잘못을
인정
하는 다나카 군. 하지만 강태공 군에게 미안하다고 말을 하기 멋쩍은지 괜히 날치 탓을 해 본다.“날치는 참치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예요. 그래서 참치 떼가 습격해 오면 재빨리 피해야 하죠. 하지만 날치는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뛸 정도로 무서워. 사람들은 자신들이 몰고 다니는 이 괴물을 ‘자동차’라고 불렀어.
인정
사정 없는 이 괴물은 동물이 앞에 있어도 절대 멈추지 않았지. 그래서 친구나 가족을 만나러, 아니면 맛있는 먹이를 먹으러 가던 내 친구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고 있었던 거야. 찻길동물사고, 왜?사람들은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해시계와 물시계의 눈금을 조정했다.정조는 김영의 천재성을
인정
하고 과거 시험도 없이 관상감의 천문학자로 발탁했다. 관상감 관리들은 모두 그를 시기했으나 정조의 특별 배려로 그는 천문 계산 책임자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의 계산은 역법 책에 있는 잘못된 글자도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서 교수님, 큰일 났습니다. 팔당호에 페놀이 유출됐습니다. 팔당호 수질예보시스템을 가동해야겠습니다. 빨리 이쪽으로 와주십시오.”전화기 너머 담당자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렸다. ... 연구자들을 봐도 미련하다싶을 정도로 한 분야를 파고드는 사람이 결국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다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편, 100회 이상이 7편이나 된다. 불과 5~6년 만에 이 교수는 나노막대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인정
받고 있다. 학부 때 물리학을 전공한 덕분일까. 관찰한 현상을 응용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그 원리를 규명하는 데도 힘을 쏟은 결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좀 더 나은 결과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앞으로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