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크기의 시공간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밤하늘을 수놓는 별과 은하는 물론, 지구와 인간까지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이 시작됐다. 가속기를 이용하면 희귀동위원소의 충돌 과정에서 원소가 생겨나고, 별이 탄생한 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중 라온이 주목하는 것은 빅뱅 직후 약 3분이 지난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학부생 기준)인 만큼 교수진과 학생들이 소통할 기회가 많다. 특히 발사체와 인공위성, 인간동력항공기 등 전공과 연계된 동아리 6~7개는 교수들이 직접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진로 설정을 돕고 있다. 이들 동아리는 1년 동안 연구개발한 내용을 토대로 매년 ‘항공전’이라는 행사를 개최한다.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때 사용하는 전력은 20W(와트) 이하다. 김 교수는 “전력 문제만 해결되면 AI 시스템은 인간이 판단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CASE 3] 사각지대_ 갑자기 보행자가 뛰어들 때 차량의 사각지대에서 보행자가 뛰어드는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후 인체 장내미생물 프로젝트가 10년간 진행됐습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내미생물이 인간의 대사질환, 장염, 1형 당뇨, 대장암, 심장병 등 다양한 질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나아가 건강한 장내미생물을 이식하는 치료 방법도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약물에 대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사실을 알고 있던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언론이 대서특필하기 전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만큼 똑똑해진 ‘학습 비결’을 궁금해 했던 사람은 얼마나 있었을까.최첨단으로 불리는 과학기술이 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그 과정에 대한 관심은, 결과에 대한 ...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로드맵이 더욱 구체적으로 실행될 전망이다. 과학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다. 인간이 어떻게 활용하는가, 그 부작용을 어떻게 대비하는가에 따라 유토피아도 디스토피아도 될 수 있다. 법을 비롯한 사회적 통제 기제도 마찬가지로 가치중립적이다. 이 점에서 디스토피아로의 전락을 막기 위한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인간을 이롭게 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홍익인간의 이념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해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에 대한 창조력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교육과정 입니다. 창의 ...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강운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은 “소똥구리는 아주 오래전부터 지구에 살았는데, 인간 때문에 최근 급격하게 사라지고 있다”며 “한 종이 없어지면 생태계에 여러 피해가 있을 수 있어서 이들을 복원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현상수배 ... ...
- [감수성] 발산형 인간수학동아 l2018년 05호
-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독소다. 특히 BMAA는 그간 열대와 온대 표본에서만 발견된 독소다. 융블루트 박사는 “인간의 발길이 닿기 전 남극의 생태가 지금과 달랐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현재 표본과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