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과거에는 잔인하고 호전적인 인간이 생존해 자손을 낳을 확률이 컸고, 결국 호전적인 유전자가 현재까지 이어온 것”이라고 해석했다. 고대 사회에는 호전적인 성격이 유순한 것보다 생존에 유리했다. 구석기 시대에는 과일, 물, 가축 등을 확보하거나 재난을 피해 여기저기 이동하면서 생활했다.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10년 안에 암을 무찌르겠다고 약속했다. 당시에는 바이러스가 침입해 암이 생긴다 ... 메틸기가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 ‘HDAC 억제제’가 항암제로 개발되고 있다”면서 “후성유전학은 맞춤형 암 치료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수명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초파리 유전자를 조작해 몸은 수컷이지만 페로몬과 냄새는 암컷과 같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을 정상 수컷과 함께 지내도록 했다. 정상 수컷들은 암컷 페로몬을 감지하고 교미를 시도했으나 잔인하게도 번번이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크릭, 제임스 왓슨, 모리스 윌킨스가 DNA 분자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함으로 지금의 유전학과 분자생물학을 낳았다. 이들의 노벨상에는 여성 과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이 촬영한 DNA X 구조선 회절 무늬 사진이 결정적이었다. 직접적인 결정 구조 해석이 아니어도 핵자기공명분광학(NMR) 개발과 같은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3차원구조가 밝혀진 첫 단백질인 미오글로빈은 2500여 개나 되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단다.유전물질인 DNA의 구조도 X선으로 찍은 후 나온 회절 무늬를 보고 이중나선 구조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지. 이제는 단백질 수십 개가 결합한 아주 복잡한 단백질인 리보솜의 구조도 X선 결정학으로 밝혀낼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제출한 보고서에서 “사람에게도 겨울잠 능력이 있지만 겨울잠 유도물질을 만드는 유전자 발현만 억제된(block) 상태”라고 밝혔다.도대체 누가 겨울잠 플러그를 뽑은 걸까. 이를 알기 위해선 왜 겨울잠 능력이 포유류에게 필요했는지부터 되짚어봐야 한다. 사실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체온 유지에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답하지 못한 수수께끼였다)에 대한 답이다. 쉽게 말하면 “내 유전자와 똑같진 않아도, 유전자의 일부를 지닌 개체(친족)의 번석 성공을 위해서는 그럴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친족이라는 말 때문에 ‘혈연선택’ 또는 ‘친족선택’이라는 말로도 불리는데, 현대 진화생물학은 이 개념에 ...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A. 유전자 변형 농산물인 GMO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도 빅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를 변형했을 때 발생하는 수많은 변수를 예측하고 막을 수 있거든요. 법원 판례를 빅데이터로 만들어서 재판에서 활용할 수도 있고, 자동차 운전정보를 토대로 무인 자동차의 인공지능으로 활용할 수도 ... ...
- 생명체 핵심 원소 인(P),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져과학동아 l2014년 01호
- 6개 원소 중 하나인 인(P)이 우주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현장을 발견했다.뼈를 구성하고, 유전 정보를 담는 DNA의 핵심 성분이기도 한 인은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등 5개 원소와 함께 생명체의 탄생과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그렇지만 인은 빅뱅 직후 생성된 수소나 다른 원소들에 비해 우주에서 ... ...
- ‘노벨 화학상 두 번’ 프레데릭 생어 별세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안겨 준 생어 기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DNA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기술로 최초로 인간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는 ‘휴먼게놈프로젝트(2003년 완료)’에도 사용되는 등 생명과학 연구를 이끌기도 했다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