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없애기
위
한 노력도 하고 있고요. 중국은 국경과 인접한 파키스탄의 메뚜기 떼를 막기
위
해 천적인 오리를 파견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요. 오리 한 마리가 하루에 메뚜기 200마리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파키스탄의 피해지역은 사막이라 건조한 지역을 견디기 어려운 오리는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한 부
위
만 비교해서는 전체적인 자세의 유사도를 측정할 수 없어요. 그래서 여러 부
위
에서 코사인값을 구한 뒤 평균을 구해서 트레이너와 내 자세가 얼마나 유사한지 알려줍니다. 이런 방법으로 비교하고자 하는 대상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구하는 것을 ‘코사인 유사도’라 불러요. 코사인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행동은 바이러스 감염 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 연구팀이 꿀벌의 면역체계를 인
위
적으로 활성화시키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즉, 꿀벌의 이런 행동은 일종의 사회적 면역방어 반응이라는 뜻이다. 벌은 본능적으로 슬기로운 벌집 생활을 해나가고 있는 셈이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랬다면 전 이미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됐겠죠? 예측은 단순히 동전을 던지거나 주사
위
를 굴리는 찍기를 벗어나, 각종 수식으로 무장한 모형을 통해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 모형들에는 각 팀의 역대 전적과 상대전적, 선수의 데이터, 리그 일정 등등 온갖 종류의 정보들을 입력해서 예측하죠. 물론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만큼 절약된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이미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북극해 해빙 지도와 해빙 변화 예측 자료는 북극 항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북극의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연구인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
위
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보컬의 음정 안정성을 분석하거나, 안무 난이도를 분석하는 등 더 다양한 분석을
위
해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입니다. 또 최근에는 K팝 댄스 동작을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AI도 만들었습니다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우선, 우린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식물의 수정을 도와주고 있거든. 우리가 없으면 식물은 자손을 만들어낼 수 없지! 꽃가루는 암술과 수술의 큐피 ... 물론 자료 조사가 매우 귀찮은 일이겠지만, 이런 자료 없이 과학을 하는 건 모래성
위
에 벽돌을 쌓는 일이랍니다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많아서 제가 다 기억을 못할 정도예요. 여러분의 상상력에 한계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
해서 이렇게 개발했지요. 엔트리와 스크래치 같은 코딩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새로운 센서를 달거나, 아두이노를 연결하는 등 학생들이 스스로 뭘 할 수 있을지 찾아보면서 창의력을 키워갔으면 좋겠답니다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
위
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현재로서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가 남극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아무도 모른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발 빠르게 추적하며 그 답을 찾고 있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