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
위
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보컬의 음정 안정성을 분석하거나, 안무 난이도를 분석하는 등 더 다양한 분석을
위
해 알고리즘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입니다. 또 최근에는 K팝 댄스 동작을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AI도 만들었습니다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핵에 침입한 후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요. 그리고 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밖을 나가면서 숙 ... 순간을 포착했어요.
위
사진을 찍은 연구팀은 “앞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기
위
해 더 노력할 것”라고 말했답니다 ... ...
[1회] 수학미식회, 데이터 맛집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데알못 여러분 안녕하세유~. 데파더예유. 데이터 사이언스가 뭔지도 모르는데 친구 따라 온 사람도 있쥬? 데이터 사이언스가 뭐기에 사람들 입에 그렇게 오르내리는지, ... 선택받지도 않은 경우죠. 일부 학교에서는 이 분석 결과를 활용해 교우관계를 개선하고
위
기 청소년을 구했습니다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
위
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현재로서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가 남극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아무도 모른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발 빠르게 추적하며 그 답을 찾고 있다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채널 설명에는 ‘K팝의 톱 보이그룹에서 춤이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하기
위
해 머신러닝과 수학을 사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인공지능(AI)으로 군무 일치도를 분석했다는 것이죠. 호주 변호사라는 채널 운영자가 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었는지 과학동아가 e메일 인터뷰를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실제로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3세대 DNA 해독 기술의
위
력이 빛을 발했다.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미니온 장비로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학술지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측정 나노 온열 패치가 치료에 집중한 기술이라면 두 번째로 개발한 기술은 진단을
위
한 의료기기다. 연구단은 스트레스 수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실제로 임베디드 시스템(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기판
위
에 부품을 실장(납땜하거나 조립해 부착)하는 일은 해본 적이 없어 연구실 선배들에게 처음부터 배워야만 했다. 연습용으로 처음 내가 직접 설계하고 제작한 기판은 오디오 앰프였다. 이 기판은 부품을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
위
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
험이 따른다. 향후 인공
위
성 원격탐사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이유다.
위
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남극 대륙 전체의 빙하 변화를 정량화해 해수면 상승을 예측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난센 빙붕에서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