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d라이브러리
"
예측
"(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아마존 지키는 구글맵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예측
한다. 예를 들어 공해상에서 이뤄지는 불법 포획을 잡거나 말라리아 전파 경로를
예측
하고, 수면 변화를 이용해 쓰나미를 예보하는 데 쓸 예정이다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정확도로 참가자의 성격을
예측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친구와 가족보다도 정확하게
예측
한 결과다.코신스키 교수는 “이 성격 분석 알고리즘을 발전시키면 구직자와 직업의 궁합을 분석해 주거나, 선거에서 누구를 뽑을지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➊ 플라스틱은 생산량에 비해 매우 소량만 바다에서 발견된다.➋ 에릭슨 박사는 탐험대를 꾸려 플라스틱 바다쓰레기를 찾아 나섰다.➌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 훨씬 강력한 뗏목을 타게 된 셈입니다. 표층뿐 아니라 심층까지도요.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예측
조차 할 수 없습니다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하나 고려해야 할 것은 이 선수가 계약 기간 동안 얼마나 높은 WAR을 기록할 수 있는가를
예측
하는 것이다. 구단 입장에서는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고려해야 하는 것은 ‘나이’다. 아무리 날고 기는 선수라도 가는 세월은 막을 수 없는 법이다. 나이에 따른 기량 저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DNA를 읽어서 아이가 어떤 방면에 재능이 있는지, 어떤 병에 취약한지, 성격은 어떨지
예측
해줍니다. 또 손목시계의 유리를 없애고 분침과 시침을 만질 수 있는 시계를 개발한 회사도 있습니다. 그런 시계를 어디다가 사용하냐구요? 시각 장애인들은 이 시계를 직접 만져서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 ...
PART3.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정적인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오직 단 하나, 일반상대성이론만이 ‘진화하는 우주’를
예측
했다.(▲ 위의 이미지는 인포그래픽 코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일반상대성이론 100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PART2. 상대성이론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륙 보조시스템을 설치하면 활주로 길이를 지금보다 최대 3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예측
했다.기자 : 사실 비행기는 이착륙 할 때 연료를 가장 많이 씁니다. 적당한 추력을 얻기까지 긴 활주로를 따라 달려야 하지요. 착륙시에도 동체 수평을 유지하려고 연료를 분사합니다.유럽 항공사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회전하는 두 별이 중력파를 방출하면서 에너지를 잃고 공전궤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
했다. 테일러와 헐스는 4년간 관찰한 끝에 두 별의 공전궤도가 실제로 줄어들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중력파의 확실한 증거였다.하지만 중력파 직접관측에 성공한 적은 아직 한 번도 없다. 중력파의 세기가 너무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서아프리카 전체에 에볼라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예측
했다. 그러나
예측
은 빗나갔다. 현재 서아프리카 전체 에볼라 환자는 2만 명을 넘지 않는다(2014년 12월 21일 기준). 일각에서는 ‘에볼라 사태’가 진정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세계적인 감염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은 이를 ... ...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차례대로). 함시현 교수는 치매나 암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모양으로 뭉칠지
예측
하고, 뭉치는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임혜숙 교수는 인터넷 통신 장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기기를 개발했지요. 유향숙 명예연구원은 일본, 호주, 인도 등 12개 나라의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