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극지연구소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 이원상 단장은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빙하가 빨리 녹고 있다”며, “그 중에서도 따뜻한 바닷물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잠수 로봇부터 인공 빙하까지! 빙하를 구하라!Part 1.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불과하다. 쫓고 쫓기는 대결…적혈구, DNA까지 등장최근에는 혈액을 이용하는 도핑도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타인의 혈액을 수혈해서 체력을 높이는 도핑 방법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이는 자동 혈구분석기로 적혈구 종류를 분석하면 금세 적발할 수 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적혈구는 총 100여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고질적인 문제가 사라졌다. ‘텾치(quench)’를 해결한 것이다. 초전도 전선에 많은 양의 전류가 한꺼번에 흐르면 순간적으로 전선 일부가 초전도성을 잃어버리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텾치라고 한다. 텾치가 발생하면 갑자기 도로가 끊긴 것처럼 전류가 흐르는 길이 사라지고, 그 부위에 열이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들어오는 입자의 경로가 조금만 달라져도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오로라가 소용돌이 모양이 된다는 것도 밝혔죠. 저는 이런 오로라를 피하고 악당과 북극곰을 따돌리며 망망대해를 건너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극심한 추위를 막고 마을을 구해냈습니다. 그 길의 끝에는 뭐가 있었냐고요? 아래에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등 다양한 식물 조명 만들기에 성공했어요. 하지만 빛의 세기가 약해서 앞으로 세 물질의 양을 조절해 빛의 세기와 지속 시간을 더 늘릴 계획이에요. 또한 직접 식물의 잎 표면에 발라서 손쉽게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개발 할 예정이랍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은하(銀河, galaxy)수많은 별들이 모인 집단을 ‘은하’라고 해요. 지구가 있는 태양계도 ‘우리은하’에 속해 있지요. 우리은하가 밤하늘에 ... OOO이라고 한다. (야구왕 허슬기 참조)❹ 기름에 갠 물감으로 그리는 그림. 반 고흐를 포함한 서양화가들이 많이 그렸다. (기획 ‘반 고흐’ 참조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배열된 전극에 흐르는 미세 전류가 사용자의 손을 타고 흘러 나가면 연결된 회로에서 그 양을 측정해 터치를 인식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편광 필름 위에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패널 센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두께를 약 3분의 1로 줄였다. 여기에는 은나노선과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이 쓰였다. 6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매우 낮다. ISS를 분해한 부품은 우주왕복선으로 27회나 왕복해야 가져올 수 있는 양이다. 한 번 우주선 발사에 200억~300억 원의 비용이 든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무엇보다 현재 가용중인 우주왕복선도 없다.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평생 무엇을 할지 바로 결정하라고 하면 정말 어렵잖아요. 여기서는 1학년 때 다양한 과목을 공부하고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오 씨는 화학과 생명과학을 복수전공할 생각이다. 화학을 바탕으로 생명과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용해 엉킴을 풀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어떤 뜻인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줄 하나를 양 손으로 잡고 한쪽 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려요. 그러면 어느 순간 그림처럼 끈 전체가 서로 엉키기 시작해요. 그 이유는 고리수=꼬임수+비틀림수(75쪽 고리수와 꼬임수, 비틀림수의 관계 참고)를 만족하기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