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야생 고릴라 두 마리가 기다란 나무막대기를 이용해 물 길이를 재는 장면을 촬영해 ‘
생물학
공중도서관’에 발표했다. ‘레아’라는 이름의 암컷 고릴라는 막대기로 물 깊이를 재 물웅덩이를 건너갔다. ‘에피’라는 암컷 고릴라는 나무막대기를 질퍽거리는 땅을 건너는 다리로 이용했다. 내가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저명한 정치가 조지 커즌은 조선과 중국, 일본을 방문한 뒤 이렇게 기록했다고 한다.
생물학
적으로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하나의 종 밖에 없고, ‘인종’이라는 개념은 다분히 사회학적인 구분이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0.00586%라는 극히 작은 유전적인 차이가 외형의 차이를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번 진실찾기의 출발점도 바로 이곳에서 시작됐다. “우리가 소장파라고?”지난달 5일
생물학
전공자로 신원을 밝힌 한 회원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황 교수 논문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한 글을 사진과 함께 남기면서 논란의 불씨가 되살아 났다. 다음날 한 지방대 박사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따라 한국과 러시아, 미국을 오가게 된다.일단 기초훈련과정에서는 주로 우주공학과
생물학
, 천문학에 대한 기초소양과 언어습득 훈련이 이뤄진다. 칼로리를 정밀하게 측정한 식단에 따라 식사를 하면서 규칙적인 체력훈련에 돌입하게 된다. 불시착이나 궤도 이탈 같은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실제로 상대방과의 유전정보 차이는 0.1%가 채 안 된다. 요즘 민족을 구분할 때는
생물학
적인 기준보다 문화와 역사적인 공통성을 더 중시한다. 인류유전학자들은 민족의 우월성을 유전학적이거나 혈통적으로 지나치게 강조하는 국수주의를 경계한다. 한류 열풍 역시 한국인의 유전적 우월성을 너무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2억 30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 무려 1억 6500만 년 동안 지구를 정복했던 생명체 공룡. 지구상에 있었던 가장 큰 동물이었기에, 그리고 화석만 남긴 채 모두 사라져 버렸기에 공룡은 영원한 인간의 호기심 속에 남겨졌습니다. 호기심이 많은 만큼 미스터리도 많은 법. 공룡 바로알기를 통해 생명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견한 DNA는 오른쪽으로 꼬여 있는 이중나선이다. 이것을 B-DNA라고 한다. 이 발견은 분자
생물학
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또 DNA가 어떻게 형태를 유지하고 다른 생명반응에 참여하는지 이해하는 바탕이 됐다. 이 구조가 너무나 유명해 사람들은 DNA 하면 이중나선을 떠올린다. 실제로 DNA는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훌륭한 시설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안정훈 교수는
생물학
을 매주 10시간 가르친다. KAIST 영재교육원에서 이 학교로 부임해 온 그는 수업 부담이 적은 대신 학생들 논문 지도나 수업 준비, 연구 등으로 늘 바쁘다.“우리 학생들은 과제에 대한 집착과 문제를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물리학의 위기라는 말은 전혀 실감이 나지 않는다”며 “여기서는 오히려 지구과학이나
생물학
이 위기”라고 밝혔다. 과학고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물리학을 어려워하면서도 열심히 한다고 한다. 물리학을 과학의 기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조정규(경기과학고 3년) 군은 올해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더욱 강력하게 지지받았다.이런 연구 결과는 1944년 발표됐고, 현재 에이버리는 분자
생물학
혁명의 초석을 마련한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재 · 현 · 실 · 험1944년 에이버리 연구팀의 실험결과가 발표됐을 때 그 중요성을 이해한 과학자들은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이들은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