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다 같이 죽을 수 있다. 그렇다면 변형균류가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전략은 무엇일까?생명과학 전문 저널인 ‘이라이프’는 2017년 1월 13일에 변형균류의 역설적인 생존 방법에 관한 논문을 공개했다. 논문을 쓴 미국 예일대학교 학부생 종 쉬앤 탄과 캉 하오 청 싱가포르 공과대학 교수는 변형균류가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돕는지 연구원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볼까요?△최성민, RG코리아 대표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전문연구요원△박지혜, RG코리아 생물정보학 담당서울대 의대 바이오정보의학연구실 박사과정생 -왜 난치병 어린이들을 도와야겠단 생각을 했나요?최: 2014년, 유튜브에서 우연히 본 미국 ... ...
- [과학뉴스] 플랑크톤처럼 움직이는 소형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가장 풍부한 플랑크톤은 많은 해양 생물의 먹이가 되는 중요한 생명체예요. 플랑크톤은 운동 능력이 매우 약해 물에 둥둥 떠다니며 생활하는 생물 무리로,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나눌 수 있어요.최근 미국 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해양연구소 연구팀이 이런 플랑크톤의 움직임을 ... ...
- [과학뉴스] 손상된 RNA 없애면 오래 살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단 등 공동연구팀은 RNA가 노화와 관련이 있으며, 세포에서 손상된 RNA를 분해하는 작용이 수명 연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RNA는 유전정보가 담긴 DNA의 ‘복사본’으로, 여기에 담겨 있는 유전정보를 토대로 단백질을 만들어 유전자를 발현한다. 지금까지 DNA가 노화와 관련이 있다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때문이다.식품연과 함께 전통주를 산업화하는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강현아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이 효모의 DNA를 분석해 국제적으로 공인된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288C’와 유전자를 비교했다. 그 결과 유전자의 96%는 동일했지만, 막걸리의 향을 결정하는 대사과정 관련 유전자에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 허재원의 영장류이야기는 이번 화를 마지막으로 연재를 종료합니다. 그 동안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 고맙습니다.지난 열한 차례의 연재를 통해 다양한 영장류가 각자 종 특유의 가족 체계와 사회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살펴봤다. 마지막 화에서 소개할 영장류의 사회 시스템은 그 ...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돼요. 벌에 쏘일 수 있거든요. 그리고 무엇보다 쌍살벌도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소중한 생명이니까요.”곤충학자의 꿈을 키우는 지구사랑탐사대 지난 1월 7일, 한겨울의 날씨에 준서를 비롯한 지구사랑탐사대 열혈대원들이 모여 곤지암천에 뛰어들었어요. 성무성 어벤저스와 민물고기 탐사를 하기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있다. 매듭이론으로 DNA가 유전 정보를 복제하는 과정을 밝히고 이해하는 것이다.효소★ 생명체의 화학 반응을 돕는 단백질 촉매다.오 교수는 2015년 최소한의 길이로 가장 효율적으로 묶여있는 DNA의 최적 구조를 매듭이론으로 찾아냈다. 그동안 DNA를 꼬을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는 컴퓨터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었다. 이때만 해도 새로운 종을 찾았다는 사실을 몰랐다. 하지만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 생명과학과 피터 응 교수팀은 이 게가 이전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들리지만, 이 설명은 틀렸다. 사자는 먹잇감의 행복 따위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 생명계의 적응을 이처럼 허술하게 설명하는 태도를 일거에 몰아낸 사람은 키가 크고, 온화하고, 조용한 어류학자 조지 윌리엄스였다. 사회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윌리엄스가 “20세기 후반 진화생물학계에서 가장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