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칼륨 등도 있지요.이렇듯 미세먼지의 성분을 자세히 분석하면, 당시 바람의 세기나 방향 등을 토대로 그 성분이 어디에서 배출됐는지 지역이나 국가를 유추해 낼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로 줄인 작은 모형을 턴테이블 위에 놓고 거대한 송풍기 5대를 작동시킨다.바람이 모든 방향에서 불 때를 고려해야 하는데, 선풍기를 옮길 수는 없으니 건물 모형을 360° 회전시키는 것이다.바람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할 때는 건물 주변의 건물이나 지형까지 모두 고려한다. 보통 건물 높이의 4배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반대로 나란하든지 둘 중 하나다. 그리고 빨간(시계방향 회전) 입자와 파란(반시계방향 회전) 입자는 늘 샴쌍둥이처럼 같이 있어야 한다(아래 그림_디랙 입자의 움직임과 에너지 띠 구조).이제 1cm3의 고체 덩어리가 있다고 치자. 물리학자가 아니라면 전자가 어디 있느냐는 물음에 1cm3의 공간 속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보자. 사방에서 나타나는 적을 빠르게 조준하려면 마우스가 움직이는 범위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조준점을 옮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마우스 패드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움직였을 때 조준점이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는 값이 적당하다. 프로게이머들은 감도가 낮으면 속도가 느린 ...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나오지요. 그밖에도 실내에는 인간으로부터 비롯된 세균과 화장실 등에 있는 곰팡이, 방향제와 같은 화학제품에서 나온 각종 유해물질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어요.실내 오염물질을 없애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환기예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30분 간 창문과 문을 열어 환기의 효과를 알아보는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꾸고 이때 홀뮴 원자에서 나온 자기장이 주변에위치시킨 철 원자(녹색 원)의 스핀 방향을 바꾼다(아래). 현재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5nm(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공정을 기술적 한계로 보고 있다. 실리콘 소재를 활용한 전자소자 기술 발전은 한계에 달했고, 그보다 작은 세계인 양자메모리를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경계를 인식하는 ‘경계세포’가 내후각피질 중심부에 위치한다.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지시세포’는 내후각피질은 물론 시상을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 넓게 퍼져 있다. 2015년에는 모세르 부부가 본인이 얼마나 빨리 이동하는지를 느끼는 ‘속도세포’를 찾아냈다.전략 4 공간정보와 감각정보를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 때문에 어두워서 땅 위가 잘 보이지 않는다. 즉, 환경이 복잡해서 포식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 단순히 포식자 종류만 경고해서는 포식자를 잘 피할 수 없는 것이다.아프리카 코뿔새는 독수리 경보음을 훔쳐 듣는다이런 소리신호는 심지어 다른 종과도 서로 통용된다. 영국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행렬식의 성분을 1행 1열, 2행 2열 등 대각선 방향으로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대각선 방향의 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은 0이 돼 전자의 에너지 고유값과 고유 양자 상태를 얻게 된다. 이를 ‘대각화’라고 부른다.하지만 슈뢰딩거방정식의 해밀토니안 행렬은 크기가 너무 커서 한 번에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다.이 교수팀은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금속 게이트를 그래핀에 적용해 전류의 흐름과 방향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모두가 꿈꾸는 그래핀의 특성을 살린 전자소자를 개발할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고온초전도체 비밀에 한 걸음 가까이김창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초전도체와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