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과학으로 무장한 태극전사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도전한다.송홍선 박사가 추천하는 관전 포인트자유형 400m에서 어떤 성적을 내느냐가 나머지 종목(자유형 200m, 1500m)의 기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00m 성적이 좋으면 탄력을 받아 1500m 성적도 기대해볼 수 있다. 자유형 200m에서 자신의 기록을 깰 수 있을지도 지켜보자. 박태환은 2002년 도하 ... ...
- 산소 같은 학문, 수학과학동아 l2008년 08호
- 그런데 초대칭 끈이론이나 M이론이 성립하려면 공간이 10차원 또는 11차원이어야 한다. 나머지 6차원 또는 7차원은 어디로 갔을까? 이에 대해 수학자들은 칼라비-야우 공간(6차원), 조이스 공간(7차원) 같은 해답을 내놓았다. 이들은 모두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만족하며, 초대칭이 존재할만한 *균일성을 ...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빛의 영향을 보기 위해 4개의 상자 가운데 2개는 위쪽에 구멍을 뚫어 빛이 들어가게 하고, 나머지 2개는 빛을 막아뒀다. ISS에 실험 장치를 두기로 한 위치가 환한 곳이 아니라서 빛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잘 나타나지 않으면 어쩌나 걱정이 됐다. 하지만 ISS의 벽은 빈 부분을 찾기 힘들만큼 여러 가지 ...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18세기 말 영국의 자연철학자 존 미첼은 뉴턴의 중력이론을 토대로 ‘너무 밀도가 높은 나머지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물체’, 즉 블랙홀이 우주에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프랑스 수학자 라플라스도 같은 아이디어를 그의 유명한 역학 교과서에 실었다.20세기에 들어와 블랙홀은 더욱 ... ...
- 블랙잭 불패의 비밀 '카드 카운팅'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블랙잭 팀은 부푼 가슴을 안고 라스베이거스로 날아갔다. 미키 교수는 자금을 대고, 나머지 학생들은‘스파이더’와‘빅 플레이어’로 각자의 역할을 한다‘. 스파이더’는 블랙잭 게임에 먼저 들어가 적은 돈을 걸고 카드카운팅을 하며 딜러의 카드를 소진시키다가, 빅 플레이어에게 게임에 ... ...
-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전자, 광자, b쿼크 중 질량이 가장 큰 b쿼크에서 힉스가 발견될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나머지 확률도 무시할 수는 없다.니키텐코 박사도 최초의 힉스 발견자가 되는 게 목표다. 그는 요즘 머리를 기르고 있다. 그는 “러시아에서 핵폭탄을 처음 만든 과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가 연구 내내 머리를 ...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과학동아 l2008년 07호
- 0부터 10까지 만들 수 있다. 0=44-44, 1=44/44, 2=4/4+4/4, 3=(4+4+4)/4, 4=4(4-4)+4, 5=(4x4+4)/4. 신기한가? 나머지 숫자들도 한번 만들어보자(답은 여럿인데 한 가지를 171쪽 오른쪽 하단에 소개했다).★ 아무도 풀지 못한 문제박영훈 지음 | 김학수 그림 | 주니어김영사 | 9800원‘아무도 ...
- 미래의 달탐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6개의 바 퀴와 서서 운전할 수 있는 넓은 조종석이 특징이에요. 바퀴 몇 개가 고장나도 나머지 바퀴로 움직일 수 있고, 우주복을 입어 움직임이 불편한 우주인을 위해 특별히 서서 운전하게 되어 있지요. 또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게걸음으로 옆으로 내려갈 수도 있어요.한편 달에서 물과 산소가 들어 ...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단서를 갖고 있다. 우주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은 전체 질량의 4.6%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암흑물질(23%)과 암흑에너지(72%)인데, LSP(Lightest Supersymmetric Particle) 같은 초대칭 입자는 현재 암흑물질의 제1 후보로 꼽힌다.LHC가 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재현할지도 관심사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 .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도형이고 오른쪽은 직선으로 그린 도형이다. 이 도형 가운데 하나는 ‘타케테’이고 나머지는 ‘말루마’다. 어느 쪽이 타케테이고 어느 쪽이 말루마일까. 1940년대 독일의 심리학자 볼프강 쾰러는 사람들이 이 단어들의 의미를 모르면서도 대부분 왼쪽 도형을 말루마로, 오른쪽을 타케테로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