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어떤 상태에 있는 지 보여주는 그림을 물리학자들은 상 그림(phase diagram)이라 부른다. 그림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세 선이 만나는 삼중점(triple point)이다. 압력과 온도를 조절해서 물을 삼중점 위에 놓으면 물, 얼음, 그리고 수증기의 세 가지 상이 함께 공존한다.물의 삼중점의 압력은 611.73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혀에서 가장 민감한 곳그렇다면 최신 혀 지도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오른쪽 위에 있는 그림입니다. 단맛은 혀끝에서, 쓴맛은 혀끝에서, 짠맛은 혀끝에서…, 엥? 모두 혀끝에서 느끼네요. 그러고 보니 각 맛을 느끼는 부위는 모두 비슷합니다. 혀끝에서 모든 맛을 ‘세게’ 느끼고, 양 옆과 뿌리 ... ...
-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남반구에서 본 은하수는 어떻게 다를까. 작가가 호주에서 찍은 아래 사진을 보면 우리나라보다 훨씬 두껍고 짙은 은하수와 마젤란은하(북반구 ... 한국천문연구원(kasi.re.kr), 동아사이언스(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 올해는 ‘그림’과 ‘동영상’ 부문이 신설돼 공모전이 더 다양해졌다 ...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내 만든 집에서 차를 마시기도 해요(그의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어요).안드레이는 이런 그림을 보며 더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영감을 얻어요. 다음에는 어떤 멋진 개미세상이 펼쳐질까요? 안드레이가 보여준 환상적인 개미나라는 어른들에게도 무한한 상상이 샘솟게 만든답니다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내 이름은 ‘양초’ 할 때 ‘초’, ‘그림’ 할 때 ‘림’, 오초림이야. 3년 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졌었어. 194일 만에 일어나니 냄새를 코로 맡지 않고 눈으로 보게 됐지. 난 극단 ‘개구리’에서 일해. 유명 개그우먼이 되는 게 꿈이거든. 내일 개그 품평회가 있어서 만담 연습을 해야 하는데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시야각을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공식을 만들었다.이 식을 계산하면 다음 그림에서 x가 약 7.37피트(약 2.2m)일 때. 시야각이 최대가 된다. 즉, 영화관에서 좌석 줄이 서로 약 3피트(약 0.9m)씩 떨어져 있다면, 두 번째나 세 번째 줄에 앉으면 된다. 국내 영화관은 화면의 크기에 따라 화면과 좌석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프로그램으로 용돈 금액의 분포와 평균, 다른 항목과의 상관관계를 정리하고 표와 그림으로 표현해 통계포스터를 완성했어요.Q 통계 조사에서 흥미로웠던 점이 있다면?A 통계 조사 결과, 설문에 참가한 친구들의 한 달 평균 용돈은 50,947원이었어요. 제가 받는 용돈이 평균보다 적다는 것을 확인하게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경우도 있다. 영국의 예술가 그레이엄 핑크는 시선 추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눈으로 그림을 그리는 영상을 3월 12일 유튜브에 공개했다. 눈에 쏴서 반사되는 빛을 분석해 안구 운동을 파악하는 소프트웨어가 적용됐다. 덕분에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예술작품이 탄생했다. 소프트웨어가 ... ...
- 학교 앞 문방구 주인 ‘사라 샤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오래돼서 그런지 글자가 지워져 버렸어요. 무슨 동물이 적혀 있었는지 알아내서 알맞은 그림을 붙여 주세요. 네?”썰렁홈즈, 장가가다?썰렁홈즈 덕분에 사라 샤프라도는 무사히 문방구를 운영하게 됐다. 뿌듯한 썰렁홈즈가 인사하며 돌아서는 순간! 누군가 팔을 덥석 잡았다!다름 아닌 사라 ... ...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971년 발굴된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무려 63종의 고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신승동국여지승람과 같은 고서에도 울산 앞바다는 경해(鯨海), 즉 ‘고래바다’로 표기돼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 바다가 고래가 많기로 유명했다는 뜻이다. 그런 한국이 요즘은 ‘고래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고래 불법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