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이루어져 있어요. 이때 손은 ‘도와 준다’는 뜻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導)’는
결국
‘다른 사람이 길을 찾는 것을 도와 준다’는 뜻에서 ‘인도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답니다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해서라도 이 칩을 사용하고 싶었다(칩의 성능이 그만큼 뛰어났다). 격렬한 토론 끝에
결국
이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완성 단계 전까지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마음을 졸여야 했다.모든 제작 과정은 토론을 통해서 결정됐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팀원들과 공유하고 의견을 모았다.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시티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역할을 하면 넘어지거나 갑자기 방향이 바뀌는 등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거든요.
결국
두 청년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해양쓰레기를 청소하는 물건을 발명하게 됐지요.‘씨빈(seabin)’으로 불리는 이 발명품은 얼핏 보기엔 평범한 쓰레기통처럼 생겼어요. 그런데 이 쓰레기통이 바다 속으로 ... ...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파랑이었다. 흔하지 않은 색깔인데다 오묘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기 때문이었다.
결국
청금석으로 인해 파랑에 대한 갈망이 높아지자, 16세기에는 북아프리카에서 인디고를 대대적으로 들여오기 시작한다.이후 낭만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파랑은 자유와 평등, 진보를 대표하는 ... ...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하는데, 이때 줄기 표면들이 햇빛에 닿으면 식물 속 수분이 빠르게 증발해 버려요.
결국
표면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줄기가 하나로 합쳐지면서 두꺼워진 거예요.사막의 동물은 피해야 산다!사막은 낮 기온이 50℃에 이를 만큼 날씨가 무더워요. 반면 밤에는 열이 금세 식어서 기온이 0℃에 가깝게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별이 아무리 파란빛을 많이 방출해도 대기 중 중원소가 이를 모두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결국
빨간색으로 보인다.그러나 별의 색깔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별의 표면온도다. 약 1만K(1K은 영하 약 273℃)를 기준으로 이보다 뜨거우면 일반적으로 별은 파랗게 보인다. 표면온도는 별이 나이가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채점단에서는 답안에 틀린 내용이 있으니 감점하겠다고 했지요.
결국
2일 간의 협상 기간 동안 결론을 내지 못해 14일 밤 세계 각국 단장들이 모인 자리에서 투표로 결정했습니다.사실 기대를 안 했습니다. 무기명 투표인 데다가 다른 나라가 잘 되는 일에 관심 있는 사람은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자연스럽게 일본 통화 가치도 오르게 된 것입니다. 한국 통화 가치가 떨어진 이유도
결국
금융투자자들 입장에서 원화가 불안정한 통화이기 때문이지요.브렉시트 이후 한 달이 지났어요. 사건이 터진 당일보다는 세계적으로 환율이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아직 큰 변동은 없습니다. 앞으로 환율이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자신의 세포 속으로 받아들여 수일에서 수개월 동안 광합성을 하게 한다. 하지만
결국
동화하지는 못한 채 엽록체를 분해하고 마는데, 만약 갯민숭달팽이와 같은 흡입과정이 반복되다가 우연히 동화된다면? 바로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소가 그렇게 태어났다는 것이다.그런데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소의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