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맛있는 스테이크를 굽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연주 (조회수 : 7만 회) 채널명 : Gregoire Blanc 영상 속에 등장하는 두 악기의 정체는 놀랍게도 ‘안테나’와 ‘톱’이에요. 통신기기에 쓰이는 ‘안테나’와, 나무를 자르는 ‘톱’이요! 안테나로 만든 악기의 이름은 ‘테레민’이에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데, 하나는 음의 높이를, 다른 하나는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연구가 ‘이그노벨상 맞춤형’이라고 말하곤 해요. 똥 말고도 생활 속에서 연구할 만한 게 아주 많으니 여러분도 항상 호기심을 갖고 용기를 내세요! 용어정리* 모세관 현상 : 액체가 가느다란 관을 따라 위로 올라가는 현상. 식물 뿌리에 있는 물이 이 현상에 의해 줄기로 올라감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어려울 정도예요.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 시대에는 인공지능이 작품을 보고 특징을 쉽게 파악할 테니 작가 고유의 표현 방식도 사라질지 몰라요.하지만 컴퓨터가 뉴미디어아트를 발전시켰듯 새로운 기술은 곧 예술의 새로운 재료가 될 거고 나노 공학이 발전하면 ‘미시 세계의 예술’ 같은 새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도서는 시공사가 발간한 10종의 과학도서로 지정됐으며, 출품 형태는 텍스트(독후감), SNS 게시물, 유튜브 동영상, 팟캐스트 음원 등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1차 심사를 통과한 작품 15편에 대해 최종 심사가 이뤄졌고, 이강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정책보좌관), 이현경(과학동아 편집장) 등 두 ...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무엇보다 불이 나면 가장 먼 저 119에 먼저 신고해야 한다는 것 잊지 마!”이번에도 완벽하게 사건을 해결한 꿀록 탐정! 다시 여유로움을 만 끽하기 위해 개코 조수와 함께 사무소로 발길을 돌렸답니다 ...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연구에 방해가 될 때도 있지만, 도움이 될 때도 많다”고 말했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설명할 방법을 고민하면서 배우는 것도 많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생각이 더 명료해지는 경험을 한다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님은 수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조언해 ... ...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45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한 기쁜 날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광복절에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애쓰신 분들을 기리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 ... 비를 이용해서 완벽한 태극기를 그려보세요. 다음 매스크래프트에선 손으로 직접 그린 태극기를 보여드릴게요 ...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끈을 새끼손가락에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n번 꼬았으면 An으로 표시하면 됩니다.어떻게 꼬아야 끈이 풀리냐고요? 이 마술의 핵심은 손가락 1개를 뺀 뒤 끈을 당긴다는 거예요. 두 손가락 A와 B에 끈을 ABA-1B-1인 상태로 꼬았을 때 손가락 B를 빼는 건 B와 B-1을 함께 지운다는 뜻이에요. 즉 ABA-1B-1은 AA-1=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칼리지 런던, 그리고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의 수학자들도 마찬가지로 AI가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그리고 그들은 오직 AI로만 결정을 내릴 때 비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상황이 얼마나 자주 일어날지, 그리고 우리가 그 가능성을 없앨 수 있는지를 연구해 2020년 7월 국제학술지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 편지는 NASA 마셜우주비행센터 부국장이었던 에른스트 스툴링거(Ernst Stuhlinger) 박사에게 전달됐다. 기아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구하자는 수녀의 진심에 감동한 스툴링거 박사는 바로 답장을 썼다. 그의 답장은 1970년 5월 6일 ‘왜 우주를 탐사하는가?(Why Explore Space?)’라는 제목으로 이후 NASA가 공개한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