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성"(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토록간절히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려는 이유는 이 입자가 가진 특별한 가능성 때문이다.학자들은 인공적인 마요라나 페르미온으로 위상 양자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물질의 양자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한 번에 다양한 계산을 동시에 하는 시스템으로,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일어나거나 한 번도 안 일어날 확률은 낮으므로 추정치는 한 자릿수 정도의 오차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페르미 추정을 ‘자릿수 추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페르미 추정은 과학적이다. 합리적인 계산 과정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원병묵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과정이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존 전파 망원경보다 더 먼 곳의 전파 신호까지 감지할 수 있어 외계의 신호를 잡아낼 가능성이 더 높다.새로운 개념의 망원경 ‘LSST’2020년에 남반구에 있는 칠레 중부 파촌 천체관측단지에 LSST(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의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3일에 한 번씩 남반구의 전 ...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행성의 평균 온도가 높아(1926℃ 이상) 철이 녹아 광물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논문의 제1저자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람이 좋아하는 음식, 즐겨 하는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 사람의 향후 질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행동 변화를 제시할 수 있다.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기기를 쓰는 순간, 눈앞에는 지금껏 전혀 본 적 없었던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우리는 가상현실 속에서 관광객이나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3진법과 그이상의 n진법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가성비’ 좋은 3진법, 현재로서는 가장 가능성 높아1파트에서 확인했듯 3진법 소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소자만 개발된다고 모든 문제가 끝나는 것일까. 하드웨어가 마련됐다고 컴퓨터가 저절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듯, 3진법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우주원리가 성립하지 않는 우주에 대한 면밀한 연구도 필요하다. 대안 이론들의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빅뱅마불게임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검증할만큼 관측 기술이 발전한다면 현재 표준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우주론을 대치할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끝끝내 관측이 되지 않는다면? 또 다른 혁신적인 이론으로 돌파하길 기대하는 수밖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Intro. 빅뱅마불게임Part 1. 허블 상수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의미하는지는 아직 미지수다. 구세계원숭이나 유인원과는 동성애의 사회적 역할이 다를 가능성이 크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유인원, 구세계원숭이 순으로 자주 관찰돼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영장류 사회에서 동성애가 관찰될까. 전세계적으로 영장류는 300여 종이 있다. 모두 영장목(目)에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었다.하지만 러시아 정부는 3진법 컴퓨터의 가능성에 주목하지 않았다. 해외에서도 세툰을 주문하는 등 수요가 많았지만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았고, 1958년부터 1965년까지 50대를 생산하는 데 그쳤다. 1970년에는 성능을 개선한 세툰70을 개발했지만 더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