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이용하지 않고, 실험 장치를 이용해 빛의 속력을 측정 한 최초의 사람은 프랑스 물리
학자
아르망 이폴리트 피조(1819~1896)다. 피조의 광속 측정 장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회전하는 톱니바퀴의 톱니 틈을 통과하게 한 후 멀리 있는 거울에 부딪혀 되돌아오게 해 빛이 멀리 떨어진 두 점 사이를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경화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뒤 인지에 대해 관심을 죽 갖고 있었다고 한다. 또 유명한 과
학자
들의 능력에 경외심을 느껴 “우주에서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우리가 우주를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에서 영감을 얻어 “우주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유전자를 찾고 싶다”는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말하기를 좋아하니 생긴 격언일 것이다. 왜 말하기를 좋아할까? 여러 심리
학자
나 사회
학자
들은 이를 ‘집단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사회적 욕구’의 발로로 해석한다. 꼭 이런 거창한 이론이 아니라도 내 이야기에 누군가 공감하고 동조했을 때의 안도감과 소속감은 누구나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된다. 과연 그럴까. 미국 코넬대의 저명한 신경생물
학자
폴 셔먼과 아내인 진화생물
학자
자넷 쉘먼-셔먼은 1953년 이후의 논문을 뒤져 알레르기와 암의 관계를 조사했다. 발암물질이야말로 대표적인 독소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놀랍게도 알레르기와 암발생이 서로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새로운 암호방식 설계와 취약점 개선할 때에는 수
학자
의 두뇌가 반드시 필요하다. 수
학자
인 가우스(Johann Carl Friedrich Gauß)가 생전에 수론을 두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수학의 여왕이다’라고 평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최신 과학이자 비전공자가 알아먹기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많기 때문이다. 겉으로 보이는 상호관계가 아니라 물리적인 실체를 다루고 설계하는 과
학자
와 엔지니어라면 더더욱.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1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
학자
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보았을 때, 과
학자
로서 행복하게 살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일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과
학자
는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사람들입니다. 가장 큰 행복도 생계나 연구비 걱정 없이 하고 싶은 연구에 매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어려운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꺾이지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공동수상했지만 오늘날 그들을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알친 교수는 “과학과 과
학자
에 대한 모든 서사는 신화로 변질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스토리텔링 경향은 구성을 단순하고 명쾌하게 만들기 위해 특정 인물을 영웅으로 부각시키고(sharpening), 연구에 기여한 다른 많은 사람들은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고 잘 휘어져 ‘꿈의 신소재’로 불리며 2010년에는 이를 발견한
학자
가 노벨 물리학상까지 거머쥐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그래핀의 구조가 워낙 견고해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를 통과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해왔습니다. 하지만 한양대 연구진이 그래핀 다섯 층을 새로운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하는 실험물리
학자
들을 위한 암시는 아니다”라고 쓰고 있다. 한 세대 뒤 후배 과
학자
들이 그래핀과 hBN을 써서 초격자를 만들어 실험을 하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괴델, 에셔, 바흐’ 한국어판 독자들에게 쓴 글에서 호프스태터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나이가 먹을수록 점점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