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달 탐사 50년] 헬륨3 찾으러 달에 가는 '찬드라얀 2호'(3)
과학동아
l
2019.07.08
1호는 작은 충돌 장치를 달 표면에 추락시켜 생명체
존재
에 필수적인 물(구름)의
존재
를 확인했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본격적인 우주 개발을 위해 예산의 절반 이상을 발사체 개발에 집중하며 발사체의 국산화에 힘써 왔다. 2017년 6월에는 자체 개발한 정지궤도우주발사체(GSLV-Mk3)로 3t급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DNA 삽입 효율 한층 높아진 유전자 교정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유전체의 타켓 지점에 DNA를 흡수시켰다”고 설명했다. 유전자 빈도는 하나의 특정 집단
존재
하는 각각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날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크리스퍼 카스 시스템의 기능적 다양함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혔으며 정확한 DNA 삽입에 대한 하나의 패러다임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대상이 내가 아닌, 이 환경이 아닌 다른 곳에서의 그 사람은 얼마든지 그럴 가능성이
존재
하는 것이다. 또한 악독한 범죄자일수록 누울 자리를 가려 눕기 때문에 피해자 외의 주변사람들에게는 ‘그럴 사람 아니다. 성실하고 착한 사람이다’는 말을 듣는 편이기도 하다. 결국 그럴 사람 아니라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준 가장 큰 선물은 아마도 우리가 이 우주의 특별한
존재
가 아니라 그저 그렇고 그런
존재
라는 겸손함을 가르쳐준 게 아닐까? 나는 저 해괴망측한 숫자들을 볼 때마다 이 우주의 원대함과 우리 인간의 보잘 것 없음을 느낀다. 뒤집어서 생각하면 이 우주에서 그렇게 보잘 것 없는 우리 인류가 이제는 ... ...
"北 HIV 청정국 주장 불구 실제론 8000명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북한 보건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이 관계자는 “보통 감염병 환자의
존재
를 공개할 경우 북한은 중앙 정부가 역풍을 맞을 것을 우려하지만, 공개하지 않을 경우 치료를 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약물 대사와 관련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약물의 대사는 특정 박테리아의
존재
나 밀도보다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액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데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유롭게 장벽을 가로지르는 전자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2
20일자에 발표했다. 클라인 터널링 현상은 서로 다른 두 물질 사이에 분명히 장벽이
존재
하지만 입자가 장벽에 튕겨나가지 않고 오히려 장벽이 없는 것처럼 통과하는 현상이다. 1929년 스웨덴 물리학자 오스카 클라인은 상대론적 양자역학계에서 이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구팀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
2019.06.22
끈임없이 갈구하는
존재
다. 반면 미움을 받거나 사회적으로 매장당하면 지옥을 맛보는
존재
라는 뜻이다. 제대로 된 인간을 만드는 건 밥보다도 사랑일지도 모르겠다. 우리 사회에도 따스하게 내민 손이 하나라도 있었다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었을 사람이 꽤 많은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교육받은 이들로 구성된다. sciencecouncil.org 제공 과학 분야마다 다르지만, 테크니션의
존재
는 연구에 필수불가결하다. 과거에는 대학도 졸업하지 못한 테크니션이 많았지만, 이제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테크니션들은 제대로된 과학자로 교육받은 이들로 구성된다. 지난 수십년간 대학이 학위공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쓴맛이 없는 게 다른 벚나무속 식물과 가장 큰 차이라는 걸 강조하다 보니 비터 아몬드의
존재
를 깜빡 한 것일까. 물론 비터 아몬드의 학명도 같다 그런데 아몬드의 원산지는 이란 지역이다. 따라서 원산지를 부각해 학명을 짓는다면 복숭아의 학명(Prunus persica)이 될 것이다. 복숭아 과육은 꽤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