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스페셜
"
역할
"(으)로 총 2,448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가 가져올 사회경제적 변화
2020.05.07
‘작고도 강한 정부’를 추구하는 신자유주의의 큰 흐름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정부의
역할
에 대한 재조명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위기 지속되지만, 비약학적 개입으로 극복 가능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 사회는 어떻게 변화할까.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인 영향은 이 사태가 얼마나 빨리 ... ...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 백신 미국서 임상 시작…전세계 임상 8건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표면 단백질 중 하나로 인체 세포 감염에 중요한
역할
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생성하는 전령RNA를 이용한다. 체내에 들어가면 인체 세포의 여러 단백질을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생성하며, 이 단백질을 인식한 인체 면역체계가 항체를 ... ...
'한날한시 태어난 그들. 마지막도 함께 했다' 코로나19로 숨진 쌍둥이들의 비극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분석결과를 소개했다. 과학자들은 유전자 차이가 바이러스 감염에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전자 차이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 활용하는 수용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회복력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 면역시스템에도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 ...
'코로나19 대유행 여전한데'…미, 백악관 태스크포스 해산 추진
연합뉴스
l
2020.05.06
정상화에 강한 의지를 피력한 것과 달리 TF는 신중론을 견지하며 일정 부분 제동을 거는
역할
을 해왔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화 본격 추진을 위해 TF 해산을 추진한다는 비판도 받을 전망이다. NYT는 "TF의 점진적 종말은 행정부가 복잡하고 생사가 달린 결정을 대처하는 데 적절히 조직돼 ... ...
중대본 "여름철 학교 내 에어컨 사용 관련 지침 내놓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5
권 부본장은 “한국의 긴급승인제도를 비롯한 진단 시약 분야의 광범위한 활약이 큰
역할
을 했다고 판단한다"며 “국내 코로나19 진단키트 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별히 진단체계와 의료기기 분야는 치료제와 백신보다도 훨씬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나는 이유
2020.05.05
규명되지 못한 상태였는데 이번에 그 전모가 밝혀졌다. 특히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고
역할
도 몰랐던 전두엽의 배측각피질(DP)과 배측덮개띠(DTT)가 알고 보니 스트레스 회로의 허브였다는 사실은 뜻밖의 성과다. 회로 차단하자 겁 없어져 미국 심리학의 아버지 윌리엄 제임스(사진)는 19세기에 ... ...
[표지로 읽는 과학]천연 항균물질이 세균 죽이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5.02
피오신이 다른 세균을 만났을 때 세균 표면의 특정 구조에 결합해 피오신을 고정시키는
역할
을 한다. 다리 6개 중 3개 이상이 세균에 달라붙으면 피오신이 공격을 시작한다. 피오신은 세균에 단단히 몸을 고정시킨 후 끝이 뾰족한 튜브를 세균의 세포막에 찔러넣는다. 마치 못을 박아 풍선을 ... ...
[프리미엄 리포트] "원숭이에게 코로나19 DNA 백신 시험 중"
과학동아
l
2020.05.01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하는 단백질로, 항원으로 작용한다. 연구팀은 이렇게 확인된 스파이크단백질 발현 유전자의 전체 또는 일부 RNA 염기서열을 사용해 10여 가지 항원 부위를 발현하는 DNA를 합성했다. DNA를 다양하게 합성한 이유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비의 혈액순환론
2020.04.30
《정맥의 판막에 대하여》를 저술하기도 했다. 판막은 혈류의 방향을 한쪽으로 고정하는
역할
을 하는데 파브리치우스는 이를 발견하도고 혈액순환론에는 회의적이었다. 혈액순환론을 완성한 것은 파브리치우스의 제자였던 윌리엄 하비였다. 하비는 영국 켄트 주 출생으로 16세에 케임브리지에 ... ...
"코로나19 진짜 시작을 알고 싶어" 과학자들 지금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홈즈 교수는 바이러스 유전체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의 기원을 연구한 결과 중간 숙주
역할
을 한 동물종의 정체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3월 1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다. 최근 이뤄진 생물통계학 연구에서도 천산갑이 중간 숙주가 아닐 가능성이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