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약물치료"(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산연강학술상에 고현용 KAIST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9.07.21
- 고현용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의과학과 연구원. KAIST 제공 두산연강재단은 '2019 두산연강학술상' 의학 논문 부문 수상자로 고현용 KAIST 의과학대학원 의과학과 연구원을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재단은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고 연구원에게 상금 3000만원과 상 ... ...
- 암세포 몰래 잠입해 약 꽂는 ‘트로이의 목마’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18
-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개발한 항암제 전달 시스템을 나타낸 상상도. 항암제에 암세포가 좋아하는 지방산을 붙여 종양 내부에 침입시켜 치료효과를 높이는 원리다. 노스웨스턴대, 네이던 자네스키 제공 그리스가 트로이를 무너뜨릴 때 잠입시켰던 ‘트로이 목마’처럼 종양 한가운데로 몰래 ...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동아사이언스 l2019.07.15
- KIST 미래형 농장 ‘스마트 T팜’ 일정한 기온-안정적 환경 조성… 사업화 힘든 작물 재배에 탁월 이주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마트팜융합센터 선임연구원이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스마트 T팜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강릉=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12일 강 ... ...
- 강주헌 UNIST 교수, 영국왕립화학회 발간 저널 촉망받는 연구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7.11
- 강주헌 UNIST 생명과학부 교수. UNIST 제공. 강주헌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과학저널인 ‘랩온어칩(Lab on a chip)’에 촉망받는 연구자로 선정, 소개됐다. UNIST는 강주헌 교수가 랩온어칩에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Emerging Investigator)’로 선정돼 소개됐 ... ...
- 루게릭병·조현병 원인은 수백만 년 전 인류조상 몸에 침투한 바이러스동아사이언스 l2019.07.11
- 독일 뒤셀도르프대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인간 내생 바이러스 유전자가 다발성경화증과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조현병 등의 발병과 진행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알아냈다. 연구팀은 평소 건강할 때에는 인간 내생 바이러스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되지 않지만 염증반응이나 돌연변이, ... ...
- 사람 간 약효차, 수학적 모델로 밝혀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9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김대욱 박사과정생은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 간 차이가 나는 원인을 밝혔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같은 약을 먹어도 사람과 동물 혹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약효가 차이나는 원인을 수학적 계산을 통해 밝혀냈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투약 ... ...
- 천랩-GC녹십자, 체내미생물 이용 치료제 개발 협력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5
- 4일 경기 용인 GC녹십자 본사에서 천종식 천랩대표(오른쪽)와 허은철 GC녹십자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열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진제공 천랩 생명정보 기반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 유전체) 기업 천랩이 GC녹십자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생산 및 연구개발(R&D)에 대 ... ...
- 화학硏, 간경변 치료제 새 후보물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국내 연구팀이 간이 딱딱하게 굳는 질환인 간경변을 치료할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간경변은 간암이 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병이다. 이번 연구가 치료제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배명애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세포 ... ...
- "여성과학자 연구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만들어지길" 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28일 오전 서울 관악구 서울대 교수회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9 제 18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에서 이미옥 서울대 약학과 교수가 학술진흥상을 수상하고 있다. 로레알코리아 제공 이미옥(55) 서울대 약학과 교수가 로레알코리아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 ... ...
-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노폐물 치우는 '경찰세포' 메커니즘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사람과 정상인의 뇌를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검사해 보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은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지만(아래 세 그림), 타우 단백질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는 이 현상을 이용해 치매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