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용적
크기
부피
부피가 큼
막대함
거인성
뉴스
"
거대함
"(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물리학상 발표 1시간 넘게 연기된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0.09
LHC의 CMS 검출기 실험 데이터 - CERN 제공 2013년 노벨물리학상 발표가 예정된 10월 8일 오전 11시 45분(한국 시간 오후 6시 45분). 두 차례에 걸쳐 수상자 발표가 연기돼 결국 예상시간보다 한 시간이 늦어지는 이례적인 사태가 발생했다. 노벨재단 측은 가타부타 설명 없이 연기해, 현장을 지키던 기자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4
과학동아
l
2013.10.09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이번 실험 결과가 앞으로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 물리학을 바꿀까. 우주와 우리 일상에 영향을 미칠까. 무엇보다 이번 실험 결과로 힉스 입자와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다 밝혀진 걸까. 앞으로 CERN과 물리학계는 어떤 연구를 해야 하는 걸까. 힉스 연구는 끝났다? CMS 연구그 ... ...
노벨물리학상 ‘신의 입자’ 힉스
2013.10.09
프랑수아 앙글레르 교수(좌)와 피터 힉스 교수(우) 올해 노벨 물리학상의 영예는 ‘신의 입자’로 불리던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84)와 모든 물질에 질량이 생기는 과정인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프랑수아 앙글레르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교수(81)에게 ... ...
초거대 행성 발견, “언젠가 지구와 가장 가까워질 날이 올까?”
동아닷컴
l
2013.10.08
[동아닷컴] ‘초거대 행성 발견’ 초거대 행성이 발견됐다. 비슷한 행성의 존재는 지난 2011년 언급된 적이 있지만 모습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천문학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미시중력렌즈 프로젝트의 보고에 따르면 “지구에서 2만5000광년 떨어진 곳에 초거대 행성 ‘MOA-2011-BLG-322’를 ... ...
화성 아라비아 지역, '슈퍼화산'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3.10.06
네이처 제공 지난 주 사이언스의 표지 주인공이 화성 위를 돌아다니는 큐리오시티였다면 이번 주 '네이처'의 표지는 어마어마한 양의 화산재가 쏟아져나오는 화성의 슈퍼 화산이 장식했다(그림 속 화산재의 높이는 과장돼 있다). 제이콥 블리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 ...
소리 없이 터널 뚫는 기계 두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이달 3일 오전 10시 서울 지하철 9호선 3단계 연장공사 구간인 석촌역 사거리. 중앙차로를 막은 간이 벽 안에 크레인 한 대만 덩그러니 있을 뿐, 예상했던 정신없는 공사장의 분위기는 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작은 문 하나를 통해 들어간 지하는 전혀 다른 세계였다. 수많은 붉은색 철골이 씨줄 ... ...
머리털자리 은하 성장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우주에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모습. 독일 연구팀이 가스구름을 새롭게 발견해 앞으로 이 은하단의 성장의 실마리를 푸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밝혀졌다. -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제레미 샌더 박사 제공 검은 색 배경에 보라색 물감을 뿌린 듯한 사진은 '머리털 ... ...
플랑크톤 늘자 지구온난화가 더 심해지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2
헬름홀츠 해양연구소 제공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해양 산성화가 ‘미세’ 플랑크톤의 번식을 북돋워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떨어뜨리고 지구 온난화를 극심하게 만드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헬름홀츠 해 ... ...
미래창조과학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미래창조과학부 <과장급 전보> △미래성장전략담당관 오대현 △창조경제진흥팀장 홍성완 △창조행정담당관 김봉수 △국제협력총괄담당관 강병삼 △과학기술협력담당관 조남준 △원천연구과장 박진선 △융합기술과장 이재범 △원자력진흥정책과장 강건기 △과학기술정책과장 신준호 △과 ... ...
초정밀 우주망원경으로 거대질량 블랙홀의 속살을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10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최첨단 X선 우주망원경 '누스타(NuSTAR)'로 촬영한 거대질량블랙홀을 이달 5일 공개했다. 이번에 발견한 거대질량블랙홀은 ‘IC751' 은하계 왼쪽에 위치한 것으로, 누스타가 발견한 첫 블랙홀이다. 이 블랙홀은 이미 다른 망원경에 의해 발견됐지만, 정밀도는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