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음악] 작곡부터 오페라 공연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저격하는 음악을 만들어라!연주뿐만 아니라 곡을 만드는 인공지능도 있어요. 사실
컴퓨터
를 이용해 작곡하는 알고리즘은 이미 1950년대부터 있었어요. 하지만 사람이 입력해 준 규칙에 따라 곡을 만드는 것에 불과했죠.최근 개발된 작곡 인공지능은 시작하는 음표나 장르 등 사람이 최소한의 설정만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팀의 나노카는 바퀴 없이 애벌레처럼 꿈틀거리며 움직인다. 그런데 경기에서는 아쉽게도
컴퓨터
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1nm를 달린 뒤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었다. 님스마나 팀은 소프트웨어를 복구하려고 했지만 두 번째로 소프트웨어 문제가 발생하자 다른 팀의 레이스에 방해가 될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같은 국책연구소에서는 암호와 보안 인력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양자
컴퓨터
에 대응해 새로운 암호체계를 개발하는 시기이므로, 앞으로 암호학자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이다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만졌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연구팀은 면봉을 이용해 세 명의 개인
컴퓨터
키보드에서 평균 1400개 이상의 미생물 리보솜RNA(rRNA)를 채취해 분석했다. 그리고 키보드 주인의 피부 미생물과 비교했다.리보솜RNA(rRNA)단백질을 합성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크고 작은 소단위체로 이뤄져 ... ...
Part 1. 뻥뻥 뚫리는 도로 깔기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머릿속에 모양이 떠올랐으면 길부터 닦아야죠. 길을 마음대로 놓아서는 안돼요. 도로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교통체증을 막는 겁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방차가 길에서 옴짝달싹 못한 채 불난 집만 지켜보는 사태가 생길지도 몰라요. 제가 세 가지 전략을 준비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 ... ...
Part 3. 비상! 쓰레기 홍수 발생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시민들은 생활 쓰레기를 집 앞에 내놓습니다. 쓰레기차는 이를 모아 매립지로 옮겨요. 쓰레기차가 가는 가장 짧은 거리는 어떻게 찾을까요?쓰레기차가 1대라면, 최단거리는 ‘순회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면 됩니다. 외판원이 도시 N개를 한 번씩 들렀다 올 때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예요. 외판원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장소에 멈춰 서서 피해 지역의 사진을 찍은 뒤, 이 사진들을 서버로 전송했어요. 그러면
컴퓨터
가 GPS 정보 등을 이용해 이 사진들을 알맞게 이어 붙이지요.그 결과 구글맵보다 30배나 정밀한 지도가 만들어졌어요. 지진 피해 정도가 심각한 곳과 양호한 곳을 구분해서 보여 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명대사를 원한다면 인공지능에게 물어라?!친구들은 뽀로로를 떠올리면 어떤 것들이 연상되나요? 아마 펭귄이나 안경, 모자 등이 생각날 거예요. 서울대학교 바이오지능 연구팀은 이런 연상 과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의 대사를 스스로 만드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뽀로로 183편을 딥러닝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연락해줄래요?”“알겠습니다. 장관님.” 대답한 이비는 밖으로 나갔다.뎀베는
컴퓨터
화면을 다시 불러내 논문작성기를 켰다. 아무래도 직접 작성할 시간이 없을 것 같다는 예감 때문이었다. 그리고 예감이 정확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데 10분도 걸리지 않았다.문이 열리고 이비와 다른 사람들이 ... ...
본 色(색)을 드러내다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두 모니터 사이의 색을 맞추기 위해서도 쓰입니다.
컴퓨터
에서 작업한 결과물과 인쇄물의 색을 맞출 때도 활용하지요.우리가 보는 디스플레이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되겠지요. 앞으로 얼마나 다채로운 색으로 감동을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