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보다는 더 효율적일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알파고 제로는 초반의 학습 효율성을 조금 포기하고, 부적절한 특징값에 의해 왜곡될 수 있는 초기화를 피했다. 그리고 학습 중간에 MCTS 방식으로 이후 승률을 미리 보여줄 수 있는 개선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함수를 좀 더 빠르게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으면 저자의 수에 따라 연구실적을 다르게 평가한다. 대학이나 연구소마다 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흔히 공동 저자가 n명이면 교신 저자와 제1저자가 2/(n+1), 나머지 저자들은 1/(n+1) 만큼 연구에 기여했다고 인정한다. 즉, 이런 평가 시스템에서는 공동 저자의 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하게 될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마시라. 실제로 이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는 연간 기껏해야 두세 번일 것이다. 국민들이 조금씩만 불편을 감수하면 국가적인 대재앙을 미리 피할 수 있다. 신청하겠는가? 유전적으로 무관한 구성원들이 집단 전체의 이익을 위해 희생을 감수하는 풍경은 인간 사회에 흔하다. 환경을 지키려고 종이컵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N번째 해에 김손님이 가져다 줄 이익의 총합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물가가 매년 조금 씩 오르므로, 미래의 이익과 비용을 현재 가치로 표현하기 위해 약간 조정해줘야 한다. 만약 고객이 매년 같은 금액만큼 음식을 산다고 가정하면 고객 생애 가치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난다. 이 공식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뒤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중요한 건 미래였다. “지난 20년간 저는 신세계 호의 진로를 조금씩 바꿔 왔습니다. 다행히 너무 늦지는 않았습니다.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면 원래 목표로 삼았던 행성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마고는 향후 진로에 대해 상세하게 보고했다. 여전히 마고를 믿지 못하는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또 셰일가스를 추출할 때와 지열발전을 할 때는 주입하는 물의 성격과 작용 방식이 조금 다르다. 셰일가스 추출 시에는 물과 모래 등을 넣어서 지하의 암석을 부수는 방식으로 작업하고, 지열발전에서는 물을 넣어서 이미 생긴 균열을 넓히는 방식을 쓴다. 이진한 교수는 “포항 지열발전소에서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서막이 올랐다. “당신이 양자역학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양자역학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양자역학과 전자기학을 통합해 양자전기역학을 구축한 공로로 196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말이다. 천재마저 이렇게 이야기할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950년, 1992년, 2014년 딱 3번 밖에 사용하지 않았는데, 꺼낼 때마다 원기의 질량이 조금씩 줄어 있었다. 그 결과 원기 대신 각 나라에 배포한 복제본의 질량도 잘못된 셈이 돼 버렸다. 1992년 국제도량형국 원기를 이용해 국가 원기들을 교정하고 2014년까지 20년 넘게 사용했는데, 그동안 국제도량형국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패를 들고 성 주변을 빙빙 돌면서 끊임없이 주변을 살폈어요. 이런 모습을 본떠서 ‘조금 걸을 척(彳)’과 ‘방패 순(盾)’이 합쳐진 ‘돌 순(循)’이 만들어졌답니다.한편 ‘고리 환(環)’은 ‘구슬 옥(玉=王)’에 ‘놀라서 볼 경(睘)’이 더해져 만들어진 한자예요. 옷에 달린 고리 모양의 옥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0년 이상의 긴 시간이 걸려요. 그래서 1990년대 중반부터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림을 조금이라도 빨리 복원하기 위해 산불 피해지에 직접 나무를 심는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답니다. 불에 탄 나무 그루터기를 모두 뽑아내고, 소나무나 자작나무 묘목을 심은 거예요. 지금도 대부분의 산불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