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한"(으)로 총 2,076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지적돼야 할 것이다. KSC 5601 완성형이 가진 가장 큰 문제 역시 우리 글을 2천3백50자로 제한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어조차 표기할 수 없는 말도 안되는 코드체계다. 이 코드가 10년 가까이 우리의 표준으로 사용돼 왔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한글 도스, 한글 윈도 3.1, ...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잡는, 도망자와 추적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알고리즘을 만든다. 이 게임도 제한된 시간 동안 잡힌 횟수가 결과로 나타난다.이 게임에서 잘 도망치고 상대방을 잘 잡으러 다닌 팀은 서울과학고였다.다시 참가하고 싶어이번 캠프에 참가했던 구정모군(전남과학고1년)은 “대학입시 공부의 ...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과학동아 l1996년 01호
- 플레밍의 페니실린(페니실린 G)은 내성균주에 잘 듣지 않았고 주사로만 투여해야 했으며 제한된 균주에만 효과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페니실린의 일부 구조를 바꾼 암피실린 클록사실린 아목시실린 등의 반합성 페니실린이 1960년대부터 시장에 나왔다 ...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과학동아 l1996년 01호
- 별리 상태에서 오는 정서 생활의 불균형, 날씨와 지리적 조건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 등이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먹는 것도 고기같은 것만 먹다보니 싱싱한 야채를 먹는 것이 소원이란 말도 나온다.이런 이유들로 쌓이는 스트레스는 규칙 생활을 통한 극기 정신, 취미 생활의 개발이나 운동, 야외 ... ...
- 1. '정보의 바다'에는 암초가 있다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우리나라의 인터넷 선로는 대부분 미국의 것을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제한을 받는다.일반적으로 하이텔이나 천리안, 나우누리와 같은 통신망에 14.4kbps 모뎀으로 접속하면 초당 7백50자 정도의 한글을 전송 받을 수 있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2백자 내지 3백자 정도의 한글을 전송받을 ...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과학동아 l1996년 01호
-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고 있다 . 이것을 채널이라 한다. 각 채널마다의 수용용량은 제한돼 있지만 송신속도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송신속도가 빠르면 채널당 수용용량이 증가된다. 라디오는 한 주파수를 여러사람이 동시에 수신하지만 호출기는 송신가능한 주파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과학동아 l1996년 01호
- 규정된다. 인터넷에서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지역적 거리 제한이 사라지며 전세계인이 같은 가상공간의 생활인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하이텔이나 천리안 과 같은 PC통신망은 특정한 지역 내의 폐쇄적인 가입자만으로 구성되므로 세계적 관점에서는 지역적 한계가 ...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부모의 서면 동의 필요)으로 36㎏에서 최고 1백9㎏사이의 체중을 가진 남녀로 사용자를 제한하고 있다. 이 기준을 충족시킨 사람은 몸에 안전띠를 장착하고 이를 번지코드(cord, 줄)와 연결한 뒤 지상 높이 3m의 에어백 위로 뛰어내린다. 번지 코드는 지름 1.2-1.3㎜ 의 생고무줄을 최소 8백가닥에서 1천 ... ...
- 배가 나와 슬픈 해마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철저한 일부일처제이기 때문에 짝을 만나는 것조차 여의치 못하다. "산호 해초 등의 제한된 서식처 또한 고기잡이 배를 피하기 어렵다. 해마는 점점 숨어버려 나중에는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라고 그는 말한다.그는 해마 판매금지와 체계적인 해마의 보존 포획 생산 계획을 수립할 것을 주장한다. ... ...
- 금속활자와 인쇄술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일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이다. 금속활자 인쇄술은 많은 부수를 찍기보다는 귀한 책을 제한된 부수만큼 찍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부수의 책은 인쇄과정이 편한 목판인쇄를 조선시대까지 내내 써왔다.고려의 문인 재상 이규보가 엮은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을 보면 의종 때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