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실험이다. 밀리컨은 전하를 띠고 있는 기름방울에 작용하는 중력, 걸어준 전기장에 의한 전기력 그리고 움직이는 기름방울에 작용하는 공기의 저항력을 모두 고려해 기름방울의 전하량을 측정했다. 기름방울 여럿의 전하량을 재보면 항상 어떤 값의 정수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밀리컨은 이를 통해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 로봇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다FIRA컵은 1995년 가을, 김종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처음 만들었다. 8월 7일 대회 현장에서 만난 그는 “상아탑에만 머물지 말고 대중과 만날 접점이 생겨야 한국 로봇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마침 당시에 로봇들이 협력해 ... ...
- [과학뉴스] 연세대 ‘창조과학’ 강의 개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믿고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주장을 펴는 유사(사이비)과학이다.논란은 최윤식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2학기 과목으로 ‘창조과학 세미나’를 개설하면서 시작됐다. 최 교수는 연세대 홈페이지에 올린 수업 계획서에서 “기독교인 과학자는 성경 내용과 과학 지식 사이의 갈등을 느껴본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컨소시엄은 2018년까지 전송효율이 90% 이상인 6.6kW급 무선전력충전 시스템을 개발해 전기차에 적용할 계획이다.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이 2014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무선충전 시장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각 산업 분야에서 무선충전이 얼마나 중요한 기술로 인식될지, 또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호를 내는 뇌세포.*격자세포 :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전기 신호를 내는 뇌세포.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들다!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정광훈 교수는 쥐의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4℃에서 뇌에 투명한 하이드로겔 용액을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정하지 못하겠어. 응? 그런데 이게 뭐지? 논문 사이에 웬 쪽지가…. 헉! 더 신기한 전기가 있다고? 이런, 내 후계자를 찾는 여정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겠군. 즐겁겠어, 하하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아인슈타인이 됐을까?2008년 9월, 당시 고등과학원의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연구교수가 ‘백북스’ 독서클럽 모임에서 입자물리학을 주제로 강의를 했을 때였다. 뒤풀이에서 박용태 백북스 서울 모임 회장이 이 교수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우리가 ... ...
- [수학뉴스] 오징어처럼 자유자재로 위장할 수 있다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색깔과 패턴을 만드는 원리를 수학 모델로 만들었습니다. 인공 색소체의 세포 하나에 전기 자극을 주면, 주변의 세포까지 함께 반응하면서 결국 전체가 변하도록 규칙을 만들었지요. 그 결과, 파도타기처럼 피부색이 변하면서 다양한 패턴을 보이는 게 가능해졌습니다.연구팀은 “이 인공 색소체로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방송을 보고 들으려면 안테나가 꼭 필요하다. 안테나는 특정 영역의 전파를 전기 신호로, 전기 신호를 전파로 바꾸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전화도 인터넷도 안테나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여기 평범한 안테나 속에서 열정과 끈기로 새로운 학문의 씨앗을 발견한 ... ...
- ‘쏙쏙’, 끼우기만 하면 전자기기가 뚝딱!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누구나 쉽게 만들고 즐길 수 있는 ‘전기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