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10, 9, 8, …, 1, 지금부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를 시작합니다!”25일 오후 2시, 국립수목원 이유미 원장님의 카운트다운으로 행사가 시작됐어요. 바이오블리츠는 생물 전문가와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에요. 그래서 일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수심 2000~4000m의 깊은 바다에 사는 귀염둥이 문어 ‘그림포텔우티스’라고 해. 만화 속에서 귀를 펄럭이며 하늘을 나는 코끼리, 덤보를 닮았다고 해서 ‘덤보문어’라고도 불리지. 이렇게 내가 너희를 찾아온 이유는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야. 우리 아빠가 그러는데…, 미래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스토리 따라잡기달~, 달~, 무슨 달?“으으…, 이건 분명 비밀 과학 집단의 짓이야! 그런데 대체 왜 자꾸 우리 일을 망치려는 거야? 게다가 오늘은 가장 중요한 축제의 마지막 날이라고!”엉망이 된 과학실을 보고 화가 머리끝까지 난 파브르가 부들부들 떨며 말했어요. 파브르의 말대로 오늘은 과학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한 케이블 방송에서 어려운 수학 문제를 척척 풀어내 ‘수학 천재’라고 불리는 뮤지션이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에서 컴퓨터과학을 공부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최근에는 수학 천재 프로그래머라고도 불린다. 바로 달달한 음악에 맞춰 랩을 하는 감성 래퍼 닥터심슨이다. 수학적인 사고가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올해 7월 18~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더반에서 국제에이즈콘퍼런스가 열렸다. 콘퍼런스에 앞서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남아프리카 국립에이즈위원회는 “남아공에서만 매주 약 2000명의 젊은 여성들이 HIV에 감염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전체에서는 매년 38만 명에 달하는 16~24세 여성들 ... ...
- Intro.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요동치는 심장 고동소리와 온몸을 종일 도는 피, 그리고 멀리서도 나를 한눈에 알아보게 하는 걸음걸이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힌트를 주자면 ‘이것’은 하늘을 향해 쭉쭉 뻗은 나뭇가지와 땅으로 내려뻗은 뿌리, 너른 평야를 가로지르는 하천, 잎사귀가 거품처럼 돋아난 듯 보이는 브로콜리, 추운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가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의 수는 약 1조에 이른다.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