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당신은 공군 전투기 편대장이다. 전투기 3대로 정찰을 나갔다가 아군기와 성능이 비슷한 적 전투기 5대와 맞닥뜨렸다. 이때 당신은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까. 임전무퇴의 정신을 발휘할 생각은 버리고 ‘무조건’ 달아나야한다. 싸운다면 적기 한 대를 격추하는 동안 아군기 3대가 모두 전멸할 것이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 본 기사는 2월 15일 이후부터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동영상 강의로 보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도처에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동반자로 보기에는 그 양이 너무 많다. 양으로 따지면 우리가 미생물의 세계에 기생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대부분 ...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학은 어렵고 딱딱하기만 할까. 기술은 차갑기만 할까. 그렇지 않다.과학과 기술로 세상을 따뜻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때로는 과학 현장에서, 때로는 과학과 관련이 없는 곳에서 오로지 과학을 나누고 행복을 퍼뜨리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만나보자.오늘 과학이랑 친구됐어요지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나이가 들면 발생하기 때문에 노인병 취급을 받는 퇴행성 관절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이 병을 앓고 있다(2009년 조사).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싸고 있는 연골의 일부가 마모돼 뼈와 뼈가 직접 부딪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관절을 오므렸다 펼 때 통증이 심하기 때 ... ...
새 패러다임 여는 이동통신 기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필자가 서울대 이동통신연구실의 문을 처음 두드린 것은 2000년 여름이었다. 당시 휴대전화가 전국민에게 널리 보급되던 시기였다. 앞으로 이동통신 시장에 큰 기회가 올 것 같았고, 그 한 켠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하고 싶어 이동통신연구실로 대학원을 지원했다.하지만 무선 데이터 통신의 보급은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올해부터 과학고 교과과정이 달라진다. 영재고와 마찬가지로 선택적 수강과 대학과정의 선이수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과학 영재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과학고 입시전략에도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졌다. 지난해 새롭게 실시된 자기주도학습전형과 과학창의성전형의 평가요소 ... ...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스트라이크~! 10개의 볼링 핀이 통쾌한 소리와 함께 쓰러진다. 겨울철에 즐길 수 있는 운동에는 스키나 스케이트도 있지만, 실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볼링도 겨울철 스포츠로 제격이다. 볼링에 담긴 수학을 찾아, 온 가족과 함께 볼링을 즐겨보자.볼링 핀과 둥근 공의 대결볼링은 누구나 쉽게 접하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삶을 지탱하고 있는 모습이 복잡계 네트워크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이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두 번 모두 져 독기가 오른 신라의 김유신.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며 윷놀이에 모든 걸 걸고 한판 승부를 펼치자고 나선다. 반면 적지 않은 영토를 확보해 느긋한 고구려의 연개소문과 백제의 계백. 김유신의 ‘다걸기(올인)’ 전략을 역으로 이용하려 하는데….김유신·연개소문·계백·소정방 네 장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왓슨이 어떻게 사람이 쓰는 언어를 알아듣고 대답을 할 수 있었을까. 질문에 대답하는 똑똑한 질의응답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질문과 관련된 문서를 검색해서 알려주는 정보검색과 달리 질의응답 시스템은 문서를 검색해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해준다. 일반적으로 질의응답 시스템은 구문분석,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