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문제가 있다고 그걸 회피하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는 것이 공학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중학교 때부터 이공계로 진로를 정하고 2학년이 되면서 과학고 입시를 준비했다. 비록 낙방했지만 준비했던 것들이 대학 입시 준비에 여러모로 도움이 됐다. 우선 수학과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ALS)’이라고도 불리는 질환으로 운동을 담당하는 뇌 신경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나타나요. 루게릭병이 생기면 근육이 약해지기 때문에 팔과 다리에 제대로 힘을 줄 수 없지요. 호킹 박사의 증상은 점점 심해져 음식을 먹거나 말을 하는 일도 힘겨워졌어요. 또 근육이 점점 퇴화해 몸은 점점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발표했다. 힉스 입자의 성질을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힉스 입자가 초기 우주에 어떤 역할을 했을지 예측한 결과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4년 6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103/PhysRevLett.112.241301이론과 실험은 함께 발전한다. 힉스 인플레이션 이론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힉스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뜨거운 음료로부터는 손의 화상을 막고, 차가운 음료가 담긴 경우에는 손 시림을 막는 역할을 한다. 커피 전문점에서는 대개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 슬리브를 사용하는데, 컵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슬리브를 구비해야 한다.이 연구원은 “4D 프린팅 기술로 슬리브를 제작하면 컵의 크기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화학반응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촉매가 바로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아래 그림은 효소의 유무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의 변화를 나타낸다.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화학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다. 과산화수소의 경우 실온에서 물과 산소로 매우 천천히 분해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비행기의 속도를 늦추고 심하면 추락까지 시킬 위험이 있어요. 윙렛은 이를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꿈을 쫓니? 우린 꿈을 만들어!선수들이 어릴 땐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라는 직업이 없었어요. 하지만 어릴 때부터 특출나게 종이비행기를 잘 날리고 싶은 꿈을 가진 아이는 커서 결국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트러스는 건물의 무게를 안전하게 지탱하고 지진 같은 강력한 진동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초고층보다 높은 상상 3] 화재 예방용 초고층건물공모전 3위는 칠레 건축가의 작품으로, 바람을 억제하고 물을 분사하는 시스템을 갖춘 화재 예방 초고층건물이다. 칠레에서 자주 발생하는 산불 ... ...
- [과학뉴스]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말단은 용액 형태의 단백질을 신속하게 굳히고 거미줄의 인장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동안은 단백질이 너무 빨리 고화돼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했다. 옥타비아니 연구원은 “핵자기 공명법, 원거리 자외선 원형 이색성 분광법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결과, 단백질이 베타시트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해 항아리곰팡이가 한국에서 시작된 것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에서 채집한 항아리곰팡이 시료가 가장 유전적 다양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항아리곰팡이가 국제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훨씬 전인 1900년대 초에 채집된 개구리의 피부 조직에서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학자가 매우 드문데, 후배 여성 과학자들이 좀 더 수월하게 뒤따라올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_김홍표 “세포 속에 살고 있지만 먼 과거에 세균이었던 미토콘드리아가 혈액으로 나오면 세균이었던 ‘본색’이 드러날까요? 답은 ‘그렇다’입니다.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