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
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염기성에서는 쉽게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올 겨울은 유난히 추워 산성이나 염기성인 소독액이 얼어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제대로 죽이지 못하고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개발했습니다. 휴보가 태어난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는 로봇의 걸음걸이나 시스템
안정
성을 주로 연구하는 곳이라 손가락에는 신경을 쓰기 어려웠을 텐데, 정말로 세밀한 곳까지 연구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휴보2의 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내는 데 주력하는 ‘앤트로포모르픽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둘 다 게놈이 RNA 단일가닥으로 이뤄져 있다. RNA는 DNA에 비해 불
안정
한 분자이기 때문에 복제과정에서 오류가 많아 돌연변이가 쉽게 일어난다. 그 결과 숙주의 면역계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한편 구제역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전령RNA(mRNA)가 되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인 ...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개선해 주는 ‘적정기술’이 대표적이다. 삶에 꼭 필요한 난방이나 교통, 식량을 쉽고
안정
적으로 확보하는 기술을 연구해 직접 저개발국에 보급한다. 에너지가 부족한 동남아시아 마을에 바이오매스 연료를 만드는 기술을 전수해 주고 물이 없는 아프리카 오지에 정수 필터나 펌프를 설치해 주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현재 이 교수팀은 생체모방 로봇 눈의 성능을 개선하고
안정
화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여기에 쓰인 근육형 형상기억합금 구동부를 이용해 로봇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연구도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연구가 완료되면 인간의 시각인지 기능을 높이기 위한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고 추정했다. 이 물질을 이용해 물에 쉽게 분해되는 비소화합물을 보호함으로써 불
안정
한 구조를 보호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아인슈타인이 함께 연구해 예측한 물질의 상태다. 이에 따르면 보존은 극저온에서 가장
안정
한 상태가 돼 서로 겹쳐지면서 개별 입자가 파동처럼 한꺼번에 움직인다. 이런 상태가 BEC다. 초유체는 보존인 액체헬륨이 BEC가 돼 점성이 사라진 결과고, 초전도체는 보존인 전자쌍이 BEC가 되면서 전기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훨씬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사람을 그대로 흉내 내는 것입니다.아시모나 휴보처럼
안정
화를 중시해 만든 로봇을 연구자들은 ‘발바닥 형’이라고 부릅니다. 전기모터 제어 기술이 뛰어난 일본과 한국에서 주로 이 방법으로 로봇을 만듭니다.하지만 미국에선 전혀 다른 방법을 씁니다. 미국은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기반 최적 설계’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선박저항성능 연구실은 당연히 선박의 명품화,
안정
화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이 교수는 “1대 김효철 교수 시절에는 선박의 전체적인 모습을 구상하고 설계하는 데 주력했다”며 “앞으로는 선박의 부품 하나하나까지 연구해 가장 안전하고 튼튼한 배를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때문이다. 이때 세 손가락은 삼각형을 이룬다. 그래서 연필을 삼각형으로 만들면 가장
안정
적으로 잡을 수 있다. 연필의 세 면이 각 손가락과 가장 넓게 맞닿기 때문이다.하지만 삼각형 연필은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공장에서 연필을 찍어낼 때 위아래의 나무 모양을 다르게 만들어야 하고, 연필을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