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d라이브러리
"
삶
"(으)로 총 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2년만에, 대학을 3년만에 조기졸업하고 병역특례까지 받다보니 남들보다 4~5년 앞선
삶
을 살았습니다. 사회 어딜 가나 경력에 비해 나이가 어려 막내 대접을 받았죠.”올해 3월 드디어 KAIST 기계공학과로 돌아온 김 교수는 “자기주장이 확실하고 예리한 질문을 퍼붓는 신세대 KAIST인에게 무척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성장한 한국 과학기술의 상징이자 청소년들이 꿈꾸는 모델이기도 한 이들과 함께 우주의
삶
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festival.scienceall.com)를 방문하면 볼 수 있다. 8월,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과학축제, 2007 대한민국과학축전의 문을 두드려라 ... ...
살맛 나는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정형행동을 보이기 전에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한다.사람에게 인권이 있듯이 동물에게도
삶
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 먹이를 주고 잠잘 곳을 제공한다고 동물의 권리를 지켜줄 수는 없다. 오랜 세월 동물이 살아온 곳은 자연이다. 유전자에 남아있는 야생의 본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물원. 이런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그림자를 통해 그 사람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이었고, 또 하나는 인간의
삶
을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인터넷에 떠 있는 동영상들로 편집하는 프로그램이었다.래빗은 잠시 오른쪽 아래에 디지털 노트를 불러내서, 두 프로그램이 연동작용을 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래빗이 손뼉을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그 잎은 바로 아래층에 사는 늙은 화가가 그린 마지막 걸작.소설 속 담쟁이가 존시에게
삶
의 의지를 다잡게 해줬다면 현실에서는 뜨거운 도시의 열기를 식히는 역할을 한다.콘크리트 벽면이나 도로의 방음벽, 담장을 기어 올라가는 덩굴식물은 보기에 시원할 뿐만 아니라 소음을 줄이고 유독가스를 ... ...
천만불짜리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뇌생물학자인 게랄트 휘터는‘불안의 심리학’에서 이렇게 말한다. 스트레스는 더 나은
삶
으로‘등을 떠미는 엔진’이라고. 스트레스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위해 인간이 나름대로 발전시켜온 멋진 방어 시스템이라는 말이다. 스트레스가 당신을 지켜주는‘천만불짜리 방패’인 이유가 여기 ... ...
미술관에 간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Musee d’Orsay필자는 화학자다. ‘화학자가 웬 미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미술은 화학에 의해 그 생명력이 유지되는 예술이다. ... 화학적 변환을 다루기 때문이다. 화학이든 미술이든 결국 아름답고 창조적이며 우리
삶
을 윤택하게 만든다는 점에서는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 ... ...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대한 걷잡을 수 없는 불신으로 자라날 수 있다”고 염려했다.우리가 꿈꾸는 해적의
삶
은 깃털처럼 가볍고 자유롭다. 비록 그 이면에는 질병과 배신, 음습한 고독이 웅크리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류시화 시인은 ‘길 위에서의 생각’이란 시에서 ‘집이 없는 자는 집을 그리워하고 집이 있는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만들 수 있다면 나노로봇을 질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미토콘드리아가 세포와 인간의
삶
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있다.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를 모방해 탄생할 생체 연료전지의 모습이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포세계 작은영웅 미토콘드리아 PART1 생로병사 마스터키 PART2 ... ...
'질환별 표준 뇌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020년에는 치매환자가 64만9000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삶
의질표준부 이용호 박사는 “뇌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뇌자도측정장비로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이 숫자는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치매는 ‘뇌지도’에서 어디쯤?사람의 뇌는 약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