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
정도
비
부분
푼수
분수
계수
d라이브러리
"
비율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한 옥타브로 정해 놓고 있다. 이 때 한 옥타브 차이가 나는 음들은 진동수가 1:2의
비율
을 이룬다. '파'음은 한 옥타브 아래의 '파'보다 진동수가 두 배 큰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음의 진동수는 서로 정수비를 이룬다. 예를 들어, '도'의 진동수와 '솔'의 진동수의 비는 2:3이다.미술 쪽은 어떨까?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 액자에는 그가 아는 모든 단어가 들어 있는 것은 물론 명사와 동사가 쓰이는
비율
도 담겨 있다고 합니다. 그는 이런 액자 500개를 설치해 문장을 수집한다면 온 세상의 학문과 과학을 총정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걸리버는 이 훌륭한 기계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으며 고국으로 돌아갈 때 이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때문에 같은 음소글자이지만 글자와 소리가 대응하지 않는 영어보다 난독증인 사람들의
비율
이 더 낮다”고 말했다. 울프 교수는 “영어와 프랑스어처럼 규칙성이 떨어지는 언어에서는 글자를 보고 음을 떠올리는 능력에 결함이 있는 난독증이 많다”고 설명했다.한자 같은 뜻글자를 읽을 때는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판도 있다. 일부 옥수수수염차 제품은 볶은 옥수수 추출액과 옥수수수염 추출액의
비율
이 9대1로 옥수수수염보다 옥수수 추출액이 더 많이 들어 있다. 게다가 옥수수수염의 고형분은 0.06% 정도로 함량이 낮다.여러 가지 원료를 섞어 만든 혼합차 음료 중에는 ‘혼합차 추출액 99%’라고만 표기해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동사를 본 피험 자들이 ‘접촉했다’라는 동사 를 본 피험자들보다 ‘예’라 고 답한
비율
이 높았다. 언어에 따라 공간을 지 각하는 방식이 달라진 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대 언어학과 최순자 교수는 대상들 사이의 공간 관계를 기술할 때 한국어와 영어가 다른 어휘를 ... ...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펩티도글리칸 합성이 줄어든다. 왈더 교수는 “박테리아 세포벽에서 D-아미노산
비율
이 높아지면 세포증식의 정체로 이어진다”며 “D-아미노산은 세포벽의 대사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옮기는 방식이다. 판매 수익은 애플의 앱스토어처럼 개발자와 운영사가 7대3의
비율
로 나눠 갖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개발자들의 도전의식을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SK텔레콤의 네이트(nate)나 KT의 ez-i가 대형 업체가 개발하고 이동통신사가 판매하는 일종의 백화점이라면, 앱스토어는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같은 천체는 수많은 별이 죽고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점차 무거운 원소의
비율
이 높아진 상태다. 작은 은하일수록 우주 초기 물질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간직하고 있는 셈이다.이명균 교수는 “지금까지 우주를 이해하는 데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의문만 남아 있지 답을 모르는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정한
비율
로 속도가 줄어드는 것처럼,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태양의 인력은 일정한
비율
로 줄어들기 때문에 행성들은 타원궤도를 그린다.뉴턴은 물체의 질량과 가속도 그리고 힘의 관계를 수학적 원리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자연현상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 즉 운동(변화)을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 ...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모양의 콘은 먹으면 먹을수록 원의 반지름이 줄어들지요. 즉 콘의 높이는 반지름과 같은
비율
로 줄어든답니다. 우리가 궁금한 콘의 양(부피)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해요. 이 사실을 이용해 콘의 부피를 계산해 보면 콘의 높이가 약 16cm(15.874cm)일 때 콘의 양은 절반으로 줄어 버려요. 겨우 4cm를 먹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