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등학교에서 문과를 선택하고 대학교에서는 전공으로 경제학을 선택한 평범한 경제학 박사입니다. Q. 경제학자가 어떻게 우주프로젝트에 지원하게 됐나요?어릴 때부터 ‘우주여행’이 꿈이었어요. 그래서 우주 관련 기사나 다큐멘터리가 새로 나오면 챙겨봤죠. 그러다 HI-SEAS 대원을 모집한다는 ... ...
-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안녕하세요! 최신 우주 소식을 발 빠르게 전하는 우주냥 기잡니다. 지금 제 뒤로 우주정거장 톈궁 1호가 지구로 추락하고 있습니다! 지구인과 우주인 모두 톈궁이 지구의 어느 지역으로 떨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2018년에는 세상에서 가장 큰 로켓인 팰컨 헤비가 발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우주정거장이 우주 호텔이 될 수 있다니, 앞으로 실현될 우주여행이 더욱 기대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반드시 많은 사람과 짐을 태울 수 있는 초대형 로켓이 필요하겠죠~. 말씀드리는 순간,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이 발사됐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팰컨 헤비’지난 2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홀로그램 정보를 얻어서 각 지문의 입체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이병효 박사과정 연구원은 “깊이의 차이가 크지 않은 지문 이미지를 재현하고 이를 분리하는 데까지 홀로그램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당초 분광학적인 방식으로 지문을 분리할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멋졌다”며 호킹은 당시의 성과를 자서전에서 회상했다. 호킹은 연구의 일부를 1966년 박사학위논문으로 펴내 대학에서 애덤스 상을 받았다. "이론물리학자는 단 한나절에도, 내 경우를 보면 일과를 마치고 잠자리에 드는 동안에도 대단한 발상에 이를 수 있다" 호킹은 이론물리학을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읽으며 수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요. 수학자가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박사 과정을 지도한 피터 크론하이머 하버드대 교수입니다. 두 분의 좋은 수학 선생님을 만나 수학자가 돼서인지 수학 대중화와 인재 육성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마놀레스쿠 교수의 홈페이지에는 본인의 연구를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천재 물리학자, 리틀 아인슈타인, 장애를 극복한 과학자. 이 말들이 누구를 가리키는 건지 아시나요? 주인공은 바로 알버트 아인슈타인 이후 세계 최고의 물리학자로 칭송받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입니다. 21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이란 불치병을 앓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에 두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2년째 ‘냐옹이’를 키우고 있는 집사예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는데, 우리 냐옹이는 집안 곳곳에 실례를 해요. 도대체 냐옹이는 왜 이런 걸까요?” [왜?] 오줌을 못 가리는 고양이도 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참 궁금합니다.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