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빨아 쓰면 효과가 떨어진답니다. ● 에필로그 “아! 정전기였군요!”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임금은 무릎을 탁! 쳤어요.“네. 털옷을 만지실 땐 핸드크림을 충분히 바르시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꿀록 탐정의 조언까지 들은 임금은 기쁜 마음으로 다시 궁궐로 돌아갔답니다. “휴우~,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는 시나리오는 오직 연착륙 모형뿐이었어요. 프랭크 교수는 “이 연구 결과가 외계 문명의 증거를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를 푸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수학동아 l2020년 07호
- 2번 이상 지나지 않고 모든 점을 잇는 문제로,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에 유명해졌지. 이 문제를 푸는 원리는 최적의 길을 찾는 여러 분야에 쓰이고 있어. 매스마인크래프트는 한붓그리기 문제가 그려진 지도를 들고 모든 길을 한 번만 밟으며 처음 지점으로 돌아와야 성공할 수 있어.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해하는 방법이다. 수와 식뿐만 아니라 기하학적인 구조로 자연, 사회 현상을 설명한다.파국 이론에서는 원인의 공간과 결과의 공간을 구분한다. 원인 공간에 있는 변수의 움직임에 따라 결과 공간에 있는 함숫값이 결정된다. 이때 결과 공간은 휘어진 곡면이므로 어떤 지점에서 급격한 변화가 ...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벌이고 있다. 최근 50년간 전 세계를 강타하며 수많은 사망자를 내는 등 인류에게 치명적이었던 바이러스 7개를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201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에볼라바이러스는 소변, 타액, 체액 등으로 감염되며, 감염 시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에볼라바이러스 백신 개발은 약 20년 전부터 진행됐고, 첫 백신은 2019년 11월 13일 승인된 ‘어베보(Ervebo)’다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는 기초감염재생산지수(R0)가 2.5명 정도로 예상된다. 이는 감염자 한 명이 평균 2.5명을 감염시킨다는 뜻으로, 계산하면 인구의 약 60%가 바이러스에 감염돼 항체를 가져야 집단면역이 형성된다. 하지만 지금은 감염자가 많은 나라에서도 인구의 10~20%가 감염됐을 뿐이다. 집단면역을 얻으려면 아직도 ... ...
- [과학뉴스] 아시아 최초 청소년 기후변화 소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했지요. 청소년기후행동 소속 김유진 학생은 “어과동 독자들도 온라인에서 진행할 서명에 참여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 파리협약 : 2015년 유엔기후변화회의가 채택하고 우리나라가 비준해 지킬 의무가 있는 협약으로, 산업화 이후 지구의 대기 온도 ... ...
- [만화뉴스] 팬데믹, 에피데믹! 그게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코로나19의 확진 사례는 114개국, 11만 8000여 건이고 43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며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고 말했어요. 팬데믹은 여러 대륙 국가에서 감염병이 동시에 대유행하는 현상을 의미해요. 최근 팬데믹과 함께 뉴스에 종종 등장했던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도구야. 미국의 통계학자인 벤트 뮤텐이 개발한 모형이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이 여러 명일 때 개개인의 변화뿐 아니라 각 개인 간의 차이, 세분화한 잠재 집단의 특징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연구 대상인 청소년의 수면 시간 변화 패턴은 크게 4개 집단으로 구분됐어. 7년에 걸쳐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