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방법으로 지어진 ‘마법의 성’인 나무조직은 죽어서도 수천년을 거뜬히 버틸 수 있다.
다만
나무조직은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 ‘일리아드’에 나오는 불사신 영웅 아킬레스처럼 치명적 약점을 가진다. 바로 수분이다. 그러나 수분만 쫓아내면 7백50년 정도의 세월을 버티는 일은 겨우 시작단계일 ... ...
맞붙은 그릇 속에 열쇠 숨기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괴한들의 본거지를 알고 있어.슬기 : 거기가 어딘데?모험이 : 여기에서 그리 멀지 않아.
다만
괴한들의 본거지로 들어 가려면 내부에서 누군가가 문을 열어줘야 해. 그곳은 내부에서만 문을 여닫을 수 있거든.슬기 : 그럼 어떡해?모험이 : 그 문제는 이미 손을 써놨어. 그곳에 첩자를 심어놨거든. 10분 ... ...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줄였다. 이 빛의 영역에서 진동수에 따라 물질의 굴절률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점은 이 변화값, 진동수에 대한 물질의 굴절률의 미분값 부호가 서로 다를 뿐이다. 느린 빛의 경우 이 미분값이 양으로 수백만쯤 된다. 반대로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을 얻으려면 이 부호가 음이 돼야 ... ...
한옥 마루는 신주 모신 신성한 장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사용하면서도 일본집과 같이 좌식생활을 하는 것이 우리의 주거문화로 정착할 수 있었다.
다만
부엌만이 부뚜막을 만들기 위해 온돌이나 마루보다 낮은 바닥을 갖는다. 그 결과 자연히 부뚜막위에 공간이 남았고, 이 공간을 이용해 부엌 상부에 다락을 만들 수 있었다. 이렇게 부뚜막과 아랫목, ... ...
5월 새로운 혜성 이케야-장 관측 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관측시간은 새벽이 가장 좋아서 이 시간대에 혜성은 거의 하늘 꼭대기에서 볼 수 있다.
다만
이때 혜성은 좀더 어두워져 밝기가 6등급대로 떨어진다.혜성의 움직임을 성도에서 살펴보자. 4월 초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북상중이던 혜성은 4월 중순 세페우스자리로 넘어가 4월 말에는 용자리에 이른다.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위해 조리개를 많이 여는 것이 좋다. 즉 f/1.4 렌즈면 1.4에, f/1.8 렌즈면 1.8에 맞춘다.
다만
조리개를 개방했을 경우 수차가 심해져 주변부에서 별의 상이 찌그러지는 단점이 있다. 셔터 스피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50mm 표준렌즈의 경우 대략 15초 정도면 별이 점상으로 찍힌다고 기억해두면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동전과 크기가 같고 지레가 기울어질 정도로 무게가 나가면 진짜 동전으로 받아들인다.
다만
철과 같이 자석에 붙는 가짜 동전의 경우는 걸러낼 수 있다. 동전통으로 들어가는 통로에 자석을 부착시켜놓으면, 철 동전은 자석에 붙고 만다. 03 전자식 동전선별기자기장 통과시켜 재질 가린다오늘날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흥미롭게 볼 수 있었을 것이다.이번 3월 20일의 토성식도 그때와 그리 다르지 않다.
다만
봄철이라 날씨가 비교적 따뜻하고, 식이 일어나는 시간대가 초저녁이라서 관측하기 더욱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토성의 모습이 지난 1월에 비해 다소 어두워 관측조건이 나빠진 단점도 있긴 하다.식이 ... ...
절개수술 없이 신장결석 제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않고도 제거하는 것일까. 이 기기의 시술법은 몸속 결석에 총을 쏘는 것과 같다.
다만
총과 다른 점은 총알 대신 충격파를 이용해 우리 몸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통과시킨다는 것이다. 신장 결석에 엄청난 충격파를 전달하면 결석은 아주 작게 분쇄된다. 그러면 소변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는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끈이론의 선조인 셈이다.현재로서는 여분의 차원이 존재한다는 관측적 증거가 없다.
다만
2005년 가동하기 시작할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 강입자충돌장치(LHC)에 기대를 걸고 있다. 입자들이 충돌할 때 촘촘히 말린 차원에서 발생하는 ‘메아리’를 탐지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 모습이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