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많은 사람에게 항공우주공학은 아직은 신비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주는 인류가 개척해야만 하는 또 다른 미래입니다. 항공우주 분야를 꿈꾸는 청소년들이 있다면 평소에 항공우주공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제가 새와 ... ...
- [JOB터뷰] 텔레비전에 나오던 아저씨 아냐? ‘두리랜드’ 임채무 회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탕이랑 봉지 과자를 먹으면서 산을 봤지. “아, 여기가 내 것이구나. 드디어 해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 Q. 두리랜드를 운영하면서 가장 행복했던 때는 언제예요? 놀이공원 문을 딱 열면 아이들이 내 얼굴을 알아보고 “아저씨!”라고 외치면서 뛰어 와. 연예인이라고 좋아해 주고 안기는 ... ...
- [핫이슈] 영어, 책상 밖에서 배우고 싶다고? 스피킹 버스 타면 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마치 게임을 하는 것 같았답니다.앱 속 친구와 대화를 하는 건 현실에서 원어민 친구를 만나는 것과 비슷했어요. 대화를 하는 동안 다양한 표현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지요. 달리기와 농구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이긴 상황에서는 “I am good at sports(난 스포츠를 잘해)”라고 말했어요. 그러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레이터, 발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발아’라고 부르지요. 씨앗뿐만 아니라 식물이나 균류, 박테리아 등에서 포자가 나와 성장을 시작하는 것도 발아라고 부른답니다. 일반적으로 씨앗이 발아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조건은 물, 온도, 산소지요.땅에 떨어진 씨앗은 먼저 주변의 물을 흡수하기 시작해요. 이때 물은 씨앗의 물질대사를 ... ...
- [특집] 종이접기로 에프매스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혹시 나를 알아볼 수 있겠어? 그래 나야 나! 에드바르 뭉크의 작품 ‘절규’ 속에서 절규하던 사람! 알던 것과는 모습이 좀 다르지? 글쎄 자고 일어났더니 얼굴이 종이로 접은 해 ... 원장), 이원표(종이접기 유튜버 네모아저씨),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종이나라박물 ... ...
- [특집] 미션 성공! 에프매스의 영롱한 자태 공개♥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가져와 접어보면서 나와 함께 했던 여정을 기억해줘~! Bonus왜 종이접기가 로봇에서 나와? 사실 숨겨진 내 정체는 로봇을 만드는 공학자였어. 언젠가 아이언맨을 능가하는 첨단 로봇을 만들 계획이었지. 그래서 이번에 배운 종이접기를 한번 로봇에 응용해볼까 해. 마지막으로 과학에 종이접기가 ...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지지하던 사람을 찍기 때문에 11월 3일에 선거한 결과로 분배된 선거인단의 수를 더해 나온 결과가 대부분 맞아 떨어집니다.하지만 간혹 미국은 이 제도 때문에 전국 득표율에서는 앞서도 전체 선거인단 수에서 패해 대통령이 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6년 치러진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공부하다 보면 점점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게 될 거예요. 법정 밖에서도 숫자는 넘쳐나요. 비율을 잘못 그린 그래프가 여론을 몰아가기도 하고 숫자 놀이로 과장된 광고에 소비자가 현혹되기도 해요. 이런 일을 피하고 숫자 뒤에 숨은 함정을 피할 수 있도록 항상 비판적인 사고로 숫자를 대하고 ... ...
- 실시간 언택트 데이터 요리쇼,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제출하는 것이었죠.미션과 함께 이날 강의는 끝났습니다. 그런데 채 몇 시간도 지나지 않아서 손흥민과 류현진 선수를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들이 속속 도착했습니다. 그중에는 실습 시간에 배우지 않은 기능을 활용한 분석도 있었죠. 수학동아 독자들의 뜨거운 열정과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 ...
- a-school 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중학생 수준의 수학 지식만 있어도 이런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 놀랍지 않나요? 외국과 국내 일부 미술대학에서는 이 언어를 교과과정에 도입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예술 작품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배 대표는 “프로세싱 언어를 이용한 에이스쿨 교육과정을 통해 어떤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