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과 시각은 어떻게 다른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시간과 시각을 엄격히 구분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시간과 시각의 뜻을 혼동하곤 하죠.이제 다음과 같은 표현을 생각해 봅시다.“몇 시야?”“숙제하는 데 2시간이나 걸렸어.”“1시에서 5시까지 4시간을 기다려야 해.”시간이 흘러가는 것을 직선으로 ... ...
- Intro. 범죄에 빠진 해킹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기승을 부리고 있다.분명 해킹(hacking)과 크래킹(cracking)은 전혀 다른 의미지만, 요즘은 구분 없이 쓴다. 일반인들 눈에는 양쪽 다 같은 해킹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안에서 금전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해킹을 악용해 돈을 벌려는 유혹은 점차 거세지고 있다. 해킹으로 인한 피해도, 사고도, 해커의 ... ...
- 놀라워서 깡충! 거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서 용도에 따라 끈적한 거미줄과 끈적하지 않은 거미줄을 구분해서 사용해. 원숭이가 나무에서 떨어지듯, 거미가 거미줄에 걸리기도 한단다. 정말 놀랍지?새도 잡는 산왕거미거미줄의 강도는 같은 굵기의 강철보다 5배나 세기 때문에 거미보다 큰 곤충이 걸릴 수도 있다. 특히 ...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역분화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뒤 이를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줄기세포는 서로 구분할 수 없었지만 여기서 만든 신경세포는 두 집단에서 뚜렷한 차이가 났다. 즉 정신분열증 환자의 신경세포는 신경돌기의 숫자가 적었고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의 숫자도 적었다.연구자들은 ...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함께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쓰이는 GPS 정보를 이용해 언제 모터를 쓸지, 엔진을 쓸지 구분하는 제어장치를 개발했다. 목적지로 향하는 길의 교통 정보를 얻어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변환 연구실에서는 연료전지 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연구하는 ...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한다.고체 이산화탄소인 드라이아이스의 이용 범위도 넓지만, 요즘은 액체와 기체가 구분되지 않는 지점인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카페인을 제거한 커피를 만들 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다. 이산화탄소는 31℃, 74기압에서 초임계 상태가 된다. ...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않고 그대로 살아 있는 미라를 ‘쓰시(젖은시체)’라고 부르며 보통의 ‘미라’와는 구분해서 생각하기도 한다. [방부처리가 끝난 미라에 마지막으로 씌우는 데스마스크. 이집트 미라의 대표적인 상징물이기도 하다.] 방부처리 _ 불멸에 도전하려는 의지시신을 방부 처리해 만든 인공미라로는 ...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아파트 단지에는 입구에 문주를 설치한다. 문주에는 문이 없지만 아파트 단지 안과 밖을 구분해 섣불리 침입할 수 없게 만든다. 단독 주택의 경우 현관에 ‘포치’를 만들어 상징적으로 사적인 영역이라는 것을 알린다. 문주와 포치 는 주거민들에게 심리적 편안함을 주기도 한다.자연스러운 감시는 ... ...
- 황금박쥐 아리랑5호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부르는 이 위성은 우리나라의 4번째 저궤도위성이다.위성은 궤도와 기능에 따라 구분한다. 저궤도위성은 지구와 가까운 곳에서 지구를 하루에 여러 번 돈다. 현재 우리나라가 운용중인 저궤도위성은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광학위성인 ‘아리랑2호’다. 성능이 더 좋은 광학 카메라를 탑재한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점점 빨리 팽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흑물질은 보통 물질과 구분되는 독특하고 기묘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먼저 이름 그대로 ‘암흑’ 상태다. 빛을 내놓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암흑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전자기적으로 아주 미약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