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스페셜
"
한편
"(으)로 총 1,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액체다) 몸속에서 지방이 굳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이 좋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칼로리는 포화도에 따라 별로 차이가 없다. 당혹스러운 건 같은 불포화지방산이라도 오메가6지방산이나 오메가9지방산은 오메가3지방산의 특징이 없고 같은 오메가3지방산이라도 분자 길이가 긴 DHA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반면 암컷은 어차피 낳을 수 있는 새끼가 제한돼 있으므로 투자대비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상황이 안 좋을 때는 수컷 새끼보다 암컷 새끼에 더 투자를 해야 한다. 부실하게 자란 수컷은 어차피 암컷을 차지하는 경쟁에서 밀릴 것이므로 포기를 하고 대신 암컷 새끼가 짝짓기를 할 수 있는 몸상태를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참고로 당시 회의에서 태양계 행성이었던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지위가 ‘격하’됐다.
한편
유성체는 소행성보다 작은 단단한 천체를 이르는 말로 크게는 10m가 넘는 것부터 작은 건 쌀 한 톨 만한 것까지 범위가 넓다. 유성체가 지구 대기와 부딪치면서 내는 불빛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게 유성(meteor)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과하기도 했다. 그만큼 아인슈타인의 1905년 논문은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다.
한편
1908년 물리학자 야콥 램은 아인슈타인에게 쓴 편지에서 하젠욀의 논문을 읽어봤느냐고 물어봤지만 아인슈타인은 답장에서 이 부분은 언급하지 않았다. 사실 아인슈타인 역시 자신의 1905년 논문에 대해 만족하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조지 폭스(현재 미국 휴스턴대 교수)와 함께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
한편
은 글자 그대로 ‘생물학 교과서를 완전히 다시 쓰게’ 만들었다. ●강사 권유에 생물학에 뛰어든 물리학도 1928년 미국 뉴욕주 시라쿠스에서 태어난 우즈는 독특한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세계는 ‘자연의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상당부분 손상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다시 기록해야 한다.
한편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이나 운영프로그램의 급속한 변화로 막상 있어도 꺼내 볼 방법이 없는 데이터도 많다. 지난 2010년 과학저널 ‘사이언스’에는 약 4만 년 전 살았던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떼어내고 줄기영역만 있는 헤마글루티닌을 항원으로 이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독감에 걸렸을 때 이런 항체를 치료제로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현실성이 없다. 치료제로 쓸 정도로 항체를 생산하려면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항체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66%이지만 실시 시기가 늦어질수록 성공 가능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감축 기술의 발전 정도나 에너지 수요의 변동 폭에 따른 성공 가능성의 편차는 정책 실시 여부에 따른 편차보다 적었다. 온실가스 배출 급증이 유발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한 파국을 막기 위해 지난 15년 동안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갓이 진핵생물의 전령RNA에도 존재했다. 갓은 전령RNA의 말단을 가수분해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리보솜에서 eIF-4E라는 개시인자가 달라붙어 번역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는 사실이 뒤에 밝혀졌다. 샛킨은 갓과 관련된 연구를 계속했는데 그의 마지막 논문은 2011년 발표한, 갓을 만드는 효소의 X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제 윌머트는 복제양 돌리가 탄생하는데 캠벨의 기여도가 66%라고 밝힌바 있다.
한편
캠벨은 태어난 복제양에게 가수 돌리 파튼(Dolly Parton)을 기려 ‘돌리’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1997년 로슬린연구소를 떠난 캠벨은 PPL세러퓨틱스에서 발생학팀을 이끌었고 1999년 노팅엄대에 자리를 잡았다. 2000년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