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이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주의 과학신간] 못된 건축 外
과학동아
l
2014.06.08
다. 건축물 모양도 신기하지만 제일평화시장을 비롯한 주위 다른 건축물과 비교돼 더욱
특이
하게 보인다. 이경훈 국민대 교수는 신간 ‘못된 건축’에서 이 DDP가 서울에 꼭 필요한 ‘착한 건축’이라고 말힌다. 도시의 건축물은 도시적이어야 하는데 DDP는 이를 충족한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호불호라는 가치 판단의 문제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돌연변이는 뭔가
특이
한 외모나 능력을 지닌 사람을 지칭할 때 많이 쓰인다. 최홍만 선수의 부모의 키가 각각 160cm, 150cm라는 것을 들어 그를 돌연변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는 개체마다 서로 다른 특성을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봐도 개화기에 서양선교사들이 여성들이 젖가슴을 드러내놓고 다니는 모습을
특이
하게 생각해 기록한 글과 사진이 남아 있다. 결국 수백 년에 불과한 이런 문화적 취향 변화에 인류의 ‘진화’를 끌어다 붙이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 ●레이첼 카슨, 50년 전 유방암으로 숨져 젖가슴에 대한 ... ...
만화 ‘심슨 가족’을 수학자들이 만들었다고?
과학동아
l
2014.05.11
세 천체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이런 팽창은 우주에서 오늘날에만 일어나는
특이
한 일이 아니다. 빅뱅 직후 ‘찰나의 찰나’에 이르는 순간 동안 우주의 시공간은 빛보다 빠른 속도로 팽창했다. 바이셉2 연구진은 지난 3월 우주의 급팽창(인플레이션)의 직접 증거를 찾아냈다. 그런데 ... ...
남성성, 1억8000만 년 전에 생겼다
과학동아
l
2014.04.27
탓에 3억6600만 개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혀내는 데 무려 10년이 걸렸다. 체체파리는
특이
하게도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를 암컷의 몸에서 키우는데, 한 번에 한 마리씩 키우기 때문에 암컷 한 마리가 평생 10마리 정도만 낳는다. 이번 연구에는 한 어미에서 태어난 총 15마리의 파리가 사용됐다. ... ...
속리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인재 명당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높은 벼슬을 한 권세가나 큰 문중의 종가가 대부분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선병국 가옥은
특이
하다. 현재 가옥에 거주하고 있는 선민혁 씨에 의하면, 조선 말엽에 고조할아버지인 선영홍 옹이 지방이나 섬에서는 출세가 어렵다고 생각해 그의 세 아들과 함께 전남 고흥을 떠나 새로운 거처인 보은에 ... ...
거미줄처럼 쭉~쭉~ 신기한 단백질 필름
과학동아
l
2014.04.15
머리카락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의 원료 물질인 ‘타이로신’을 연구하던 중
특이
한 현상을 발견했다. 타이로신이 들어있는 특정 펩타이드를 물에 녹인 뒤 서서히 증발시켰더니 수 분 만에 주변의 다른 펩타이드와 결합해 수면 위에 필름처럼 넓게 펼쳐진다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 ...
중미 농민 괴롭히는 '독한' 만성신부전증
과학동아
l
2014.04.13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 남성 환자가 여성에 비해 3배 가량 많았다. 이런
특이
성 때문에 의료 전문가들은 그동안 이를 일반적인 만성신부전증(CKD)와 구분해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신부전증'(CKDu)이라고 불러왔다. CKDu의 원인은 엘살바도르 로살레스국립병원의 라몬 그라시아 ... ...
당뇨병 표적치료제, '한 놈'만 걸려라~
과학동아
l
2014.04.09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빛이 있을 때 접착제(본드)처럼 작용하는
특이
한 갈고리를 약물에 붙여 세포에 투여하면, 이 약물에 반응하는 표적단백질을 정확히 찾아내는 기술이다. 표적단백질을 알고 있으면 수많은 후보 약물을 테스트할 필요없이 표적단백질에만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계열 2(CELF2)'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두 개의 유전자가
특이
단백질을 만들어내 동경이의 꼬리뼈 퇴화를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태헌 과장은 “이번 성과를 천연기념물인 경주개 동경이의 혈통 보존과 유전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며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