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뉴스
"
컴퓨터
"(으)로 총 4,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교육과정, 고교-대학 연계 무게 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역량으로 전공 분야의 지식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지식 그리고
컴퓨터
를 활용하는 능력을 지목했다. 특히 수학적 지식에서 행렬이나 벡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한국은 두 개념을 미국, 영국, 싱가포르처럼 필수가 아닌 선택 과목에 있다고 지적했다. 백 교수는 "수학적 ... ...
뇌 회로 망가뜨리는 돌연변이 조현병 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뒤 소바젠에 합류했다. 시퀀싱 데이터 분석에는 한국정보과학기술연구원(KISTI)의 슈퍼
컴퓨터
5호기 ‘누리온’이 쓰였다. 김 선임연구원은 “누리온 덕분에 데이터 분석 기간을 1~2주로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 ...
[랩큐멘터리] '뜨거운 지구' 기후변화의 임계점을 탐사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온난화를 얼마나 가속화시키는 지도 최초로 밝혔다. 이외에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후변화 예측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다. 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좀 더 정확한 미래 예측’이다. 최근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후는 이런 변화에 ... ...
[과학게시판] AI시대 이공계 교육을 위한 혁신 방안 포럼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발표가 끝나면 이준호 서울대 자연대학장, 조형희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 백란 호남대
컴퓨터
공학과 교수, 김재혁 광양고등학교 교무부장이 참석해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을 기획한 과총은 "이번 포럼을 통해 교육 현장이 공감할 수 있는 이공계 교육 혁신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소리
과학동아
l
2021.03.09
변형한 나팔 중 가장 오래 전인 약 1만 8000년 전에 사용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컴퓨터
단층촬영(CT) 장치로 나팔고둥의 내부 구조를 3차원 분석한 결과 선사시대 사람들이 나팔고둥을 악기로 사용하기 위해 내부에 구멍을 뚫은 흔적을 발견했다. 나팔고둥의 겉면에서는 붉은 염료를 바른 흔적도 ... ...
CT·엑스레이 등 의료방사선 검사 수·피폭선량 매해 증가
연합뉴스
l
2021.03.08
019년 검사 건수 2016년 대비 20%↑·피폭선량 25%↑ [연합뉴스TV 제공] 2019년 국민이 CT(
컴퓨터
단층촬영), 엑스레이 촬영 등 의료방사선 검사를 받은 횟수가 2016년에 비해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료방사선 검사로 인한 연간 피폭선량도 같은 기간 25% 정도 늘어난 것으로 ... ...
전 세계 데이터의 90%가 ‘이것’…DGIST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슈퍼컴퓨팅 시설이다. 지난달 8일 찾은 센터의 문을 열고 들어가자 쉴새 없이 돌아가는
컴퓨터
의 팬 소리가 사방을 가득 채웠다.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의 소음이었다. 이성진 센터장(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은 “방대한 규모의 암흑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 ...
마지막 티켓 2장을 잡아라…AI대학원 설립 총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말했다. 올해 7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 부임하는 송진영 박사. 그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 분야 전문가로 현재 KAIST 연구교수로 있다. 송진영 제공 ○ 송진영 “테슬라도 자율주행차에 사고 데이터는 학습 못 시켜” 송진영 박사는 올해 7월 DGIST에 부임한다. 지금은 KAIST 연구교수로 ... ...
워싱턴 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연합뉴스
l
2021.03.06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픽. 저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 내용 등을 토대로 재구성한
컴퓨터
그래픽이다. [미 보스턴 아동병원 Jonathan Khao 박사 등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변이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생긴 다중 돌연변이의 영향을 돌연변이별로 구분해 일일이 확인했다. 항체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개발했다. 머리를 뼈로 완전히 감싸는 대신 중간중간 구멍을 내 압력을 분산한 꼼치처럼
컴퓨터
칩과 배터리 등 전자장치를 떨어트려 배치하고 실리콘 그물망으로 감싸 압력을 덜 받게 했다. 로봇의 양옆으로 꼼치처럼 두 개의 지느러미를 달고 수축과 팽창을 하는 인공근육을 연결해 물속에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